2025.09.17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도시철도 및 트램의 계획과 건설’이대로는 안된다!

‘도시철도’계획.설계.건설, 부산시가 직접 주도해야

(포탈뉴스) 부산시의회 도시안전위원회 고대영 의원(영도구1)은 10일 열린 제283회 임시회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민선 7기 도시철도 중심 대중교통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부산시가 직접 도시 미래상에 부합하는 도시철도 및 트램 계획을 수립하고 컨트롤해야한다고 촉구했다.



이와 함께 고 의원은 부산교통공사에서 부산 도시철도에 관한 모든 업무를 수행하는 것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대책방안을 제시했다.


부산시는 81년 1월, ‘부산직할시 지하철 건설본부’를 신설하고 도시철도 1호선을 직접 계획.설계.시공 및 사업 완료하여 도시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88년 이후 부산교통공사로 개편하면서부터는 단지 건설사업비만 지원할 뿐 도시철도의 계획.설계.건설부터 운영관리까지 모든 업무는 부산교통공사로 이관되었다.


그 결과, 부산시는 도시철도의 지도.감독 권한만 있을 뿐 도시철도 계획수립과 관련된 업무를 직접적으로 수행하지 않고 있어 사업 전반에 대한 이해부족과 전문성 결여로 이어졌을 뿐만 아니라 ‘도시철도법’에 따라 시장의 책임하에 수립되어야 할 도시철도기본계획마저 부산교통공사가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시철도는 도시의 발전 축을 바꾸고 발전 방향을 획기적으로 이끌어나가기 때문에 계획단계부터 중요하지만 현재 상황으로는 부산이라는 도시의 정체성과 미래 부산의 도시발전 축과 연계한 도시철도 노선의 계획이 제대로 수립될 수 없다고 고 의원은 지적하였다.


반면, 도시철도를 직접 운영하는 타도시의 경우 도시철도망의 계획부터 설계.건설을 시장이 직접 주도하고 건설 이후 도시철도의 운영 및 관리는 공기업에서 수행하는 등 업무가 체계적으로 이원화되어 운영되고 있어 부산시와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전반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고 의원은 부산시 도시철도 및 트램의 업무체계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하며, 이를 위해 ① 트램과 같은 신교통수단 도입 및 계획을 위한 전담부서를 신설, ② 진행 중인 도시철도 사상~하단선 및 양산선에 부산시 공무원을 부산교통공사에 파견하여 T/F 구성 및 협업 ③ 향후 건설될 도시철도 계획.설계.건설은 타 시.도와 같이 부산시 도시미래 비전과 관련된 전반적인 계획과 함께 검토할 수 있는 부서에서 업무 추진을 해줄 것을 촉구하였다.


[뉴스출처 : 부산광역시의회]


포토이슈


정치

더보기
이재명 대통령, 청년농업인 간담회 개최 (포탈뉴스통신) 이재명 대통령은 오늘 오후 세종시 소재의 한 농원에서 ‘청년들의 기회와 희망, K-농업에서 펼치다!’를 주제로 간담회를 개최하고 청년농업인들의 목소리를 경청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간담회에 앞서 농원 대표의 안내를 받으며 복숭아 농장을 둘러봤고, 복숭아 수확 후 진행되고 있는 가지치기 작업을 함께했다. 농원 대표는 가지치기는 내년의 풍성한 결실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라고 설명했고, 이재명 대통령은 미리 내년 수확을 준비하듯이 우리 농업·농촌의 밝은 미래를 위해 청년농업인들에 대한 투자와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화답했다. 간담회에는 채소, 과일, 화훼 등 다양한 작물을 재배하고 있는 청년농업인 8명이 참석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고추와 애플수박 등의 가격이 어떻게 되는지 물었고, 청년농업인이 재배한 청귤로 만든 음료를 나눠 마시며 이야기를 이어갔다. 화훼업을 하는 청년농업인은 농촌이 다시 생명력 넘치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며 우리 농업을 이끌어 나가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양봉업을 하는 청년농업인은 “지금도 벌을 보면 너무 예쁘다”며 농업에 애정을 드러내면서도 젊은이들이 농촌에 뿌리내리기에는 한계와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라고 호소했다. 청년농

사회

더보기


경제핫이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