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울산교육청, 온라인 개학! 원격수업지원센터에서 도와드립니다.

(포탈뉴스) 울산광역시교육청(교육감 노옥희)은 온라인 개학과 관련하여 체계적인 밀착지원을 위해 8일부터 온라인 수업 종료시까지 시교육청 4층 비상대책 본부 내 원격수업지원센터를 구축하여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



‘원격수업지원센터’는 시교육청, 울산교육연구정보원, 강남(북)교육지원청 소속 직원 15명으로 구성하여 원격수업 인프라 지원반과 원격수업 운영 지원반으로 운영한다.


원격수업 인프라 지원반은 플랫폼 지원팀, 시스템 지원팀, 학생·학부모 지원팀으로 운영되며, 플랫폼 지원팀은 원격수업 플랫폼 활용방법 컨설팅, 수업 유형별 플랫폼 적용 방법 사례 안내, 화상수업도구 활용 방법 안내 등을 지원한다.

시스템 지원팀은 인프라 및 하드웨어 관련 분야 컨설팅과 단위학교 네트워크 문제해결, 원격지원, 원격수업 네트워크 장애 처리 등을 맡고, 학생 학부모 지원팀은 학생 원격수업 참여 상담과 스마트기기 사용, 인터넷 네트워크 문제 해결, 스마트기기와 통신비 지원을 맡는다.


원격수업 운영 지원반은 학사운영과 교육과정운영 컨설팅, 원격수업 우수사례 공유 확산과 지원을 위해 초등수업지원팀, 중등수업지원팀을 운영한다.

컴퓨터 및 노트북, 네트워크 구축, 상황반 전화 회선 및 환경 구축, 민원 접수 및 연결, 일일 상황 보고를 위해 행정지원팀이 운영된다.


또한, 센터 내 콜센터 (T. 210-5500 ~ 5509)를 가동하여 주중 08:30분부터 18:00까지, 주말은 10:00시부터 14:00까지 상시 근무하며 온라인 수업 장애 발생 시 학교 현장을 실시간 지원한다.


울산 관내 학생, 학부모, 선생님들이 온라인 개학, 원격수업과 관련한 궁금한 내용을 콜센터 뿐만 아니라 울산광역시교육청 홈페이지(무엇이든 물어보세요!)에서도 문의를 하면 해당 내용에 자세한 답변과 필요 시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노옥희 교육감은 “코로나 19로 온라인 개학이 처음 가는 어려운 길이지만 원격수업지원센터를 통해 학생, 학부모, 교사들을 위해 온라인 수업을 돕고 학교 현장을 지원하는 역할을 체계적으로 수행할 예정이다”며, “원격수업 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이겠다. ”라고 전했다.


[뉴스출처 : 울산시교육청]


포토이슈


정치

더보기
이재명 대통령 "선출 권력에 의해 국민 주권 발현…국회 존중하길" (포탈뉴스통신) 이재명 대통령은 1일 "국회는 국민으로부터 직접 권력을 위임받은 기관으로, 우리 국무위원들이 국회에 가면 그 직접 선출된 권력에 대해 존중감을 가져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무회의 모두발언에서 "국회와의 관계에서 지금 약간 오해가 좀 있는 것 같다"며 이 같이 밝혔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은 주권 국가이고 이 나라의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오는 것"이라며 "직접 선출된 권력에 의해 국민주권이 발현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대한민국의 선출 권력은 대통령, 국회의원, 자치단체장, 기초광역의원 등으로 구성된다"면서 "아무리 우리가 외형적으로 높은 자리, 높은 권한을 가지고 있다 할지라도 임명된 권력은 선출 권력을 존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회도 헌법의 국가기관 순위가 써져 있다"며 "개인적으로 좋든 나쁘든 그런 것은 중요하지 않다. 국가의 기본적 질서에 관한 문제니까 최대한 국회를 존중해 주시기를 당부드린다"고 거듭 촉구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혹서기와 장마에 대한 철저한 대비를 주문했다. 이 대통령 "지금 장마가 계속 중이고 앞으로 강우가 어떻게 될지 모르겠는데, 지금까지는 비 피해가 크게

사회

더보기


경제핫이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