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3 (일)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IT/과학

경상남도, 벼농사 비료 줄여 쌀 품질 높이세요

질소비료 과다 시용 시 수확량 감소, 환경오염 유발 등 역효과 발생

 

(포탈뉴스) 경상남도농업기술원은 도 내 모내기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고 있는 시기를 맞아, 올해 생산하는 쌀 품질 향상과 탄소 저감을 위해 핵심 재배기술 지원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벼논 물 관리 실천 첫 번째 기술로 벼 이앙 후 한 달간 논물을 깊이 대고 2∼3주 정도 물을 떼서 논바닥에 실금이 보이면 물을 다시 대는 방법이 있다.


두 번째 방법은 중간물떼기(출수전 40~30일) 후 논물을 얕게(3∼5cm)대고 자연적으로 말리며 다시 얕게 대어주면서 이삭이 익을 때까지 반복하는 방법이다.농가에서는 위 방법만 잘 실천해도 상시담수 대비 각각 25.2%와 63.0%의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아울러 경상남도농업기술원은 벼 재배에 필요한 질소사용 적정량을 10a당 7kg으로 제시하고 있다.


간혹 일부 농가에서 생육촉진을 위해 비료를 필요 이상으로 질소(N)질 비료를 너무 많이 사용하면 각종 부작용이 발생하고 유실된 비료는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권장량의 비료를 살포해야 한다.


모를 낸 후 14일경이 지나면 벼 새끼칠거름을 살포하는데, 밑거름으로 맞춤형 비료를 전량 살포한 농가는 주지 않아야 한다.

도 농업기술원 기술보급과 손창환 과장은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해 질소 적정량 시비와 기후변화 대응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벼논 물 관리를 실천하여 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뉴스출처 : 경상남도]


포토이슈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경제핫이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