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3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광주광역시 광산구 호가정, 시민 휴식 공간·지역 명소 거듭

 

(포탈뉴스통신) 광주 광산구가 호가정 일원(본덕동 5번지)을 지역의 대표적 문화·휴식 공간으로 새롭게 조성했다.

 

광산구는 지난해 1월부터 올해 10월까지 시민들의 여가·문화 공간으로 재정비하기 위해 ‘호가정 경관조성 공사’를 추진했다.

 

호가정 경관조성 공사는 국토교통부 사업인 ‘개발제한구역 주민지원사업’에 선정돼 2년 동안 총 10억 원(국비 9억 원, 시비 5,000만 원, 구비 5,000만 원)의 사업비가 투입됐다.

 

호가정은 광산구 본덕동 1번지 일원에 자리한 광주시 지정 문화유산으로, 조선시대인 1558년 선비 설강 유사(柳泗)가 낙향 후 지은 정자로, 임진왜란 당시 소실됐다가 고종 8년에 중건돼 오랜 세월 동안 지역의 정신과 풍류를 상징해 온 전통적인 정자다.

 

광산구는 기존 접근성이 낮고 시설이 노후화됐던 호가정을 시민들이 함께 즐길 수 있도록 쾌적하고 매력적인 산책로로 조성했다.

 

특히 수변데크와 산책길에는 경관조명을 설치해 야간에도 안전하고 아름다운 보행환경으로 구성했으며, 전통미와 자연경관이 조화를 이루는 공간으로 새단장했다.

 

광산구는 지난 1일 호가정 경관조성 준공식과 더불어 호가정 주민 화합 한마당을 진행했다.

 

호가정 주민 화합 한마당은 2024년 동곡동 주민총회 1순위로 선정된 마을의제로서 주민이 직접 기획하고 참여한 동곡동 첫 주민 화합행사다.

 

이날 소고춤과 오카리나 등 문화 공연을 비롯해 △호가정 백일장 수상 시 작품 낭송 △효도 실천게임 ‘월척을 잡아라!’ 등을 진행했다.

 

또한 라탄 공예·테라리움·도자기 컵 체험 공간 등 다채로운 부대행사를 마련해 주민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특히 ‘동 미래발전계획 공론장’에서는 2025년 주민이 직접 선정해 추진한 ‘동곡올래 행복할지도’와 ‘동곡올래 홍보영상’ 제작결과를 주민과 공유하고 2026년 실행사업 방향을 함께 논의했다.

 

광산구는 전통문화 유산과 자연이 공존하는 공간을 지속적으로 발굴·정비해 도시의 품격을 높일 예정이다.

 

박병규 광산구청장은 “호가정은 광산의 역사와 문화가 담긴 소중한 문화유산으로, 이번 사업은 호가정의 가치를 시민 곁으로 되돌리는 뜻깊은 과정”이라며 “앞으로도 주민과 함께 도시의 숨은 매력을 살리고, 모두가 머물고 싶은 문화·휴식의 도시로 만들어 가겠다”고 전했다.


[뉴스출처 : 광주광역시광산구]


포토이슈


정치

더보기
오세훈 시장, 2일(일) '서울·인천·경기·강원 - 국민의힘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 참석 (포탈뉴스통신) 오세훈 서울시장은 2일 오전 10시, 국회 본관(245호)에서 열린 '서울·인천·경기·강원 – 국민의힘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에 참석해 불합리한 재정 및 법령‧제도 개선을 건의하고 시민 안전과 직결되는 각종 사업에 대한 국고지원 확대를 요청했다.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는 서울시장을 비롯한 지자체장과 국민의힘 핵심 당직자들이 주요 현안과 국고지원 요청 사안들을 논의하는 자리다. 이날 협의회에는 오세훈 서울시장과 유정복 인천시장, 김진태 강원도지사, 김성중 경기도 행정1부지사를 비롯한 주요 간부와 국민의힘 송언석 원내대표, 김도읍 정책위의장, 박형수 예결위 간사 등 당직자들이 참석했다. 오 시장은 “민선8기 ‘약자와 동행하는 매력있는 글로벌 선도도시’ 실현을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있으며, 그 결과 서울시민의 일상이 변화하고 혁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오 시장은 “서울은 재정규모가 크지만 정해진 사회복지 예산과 노후한 도시 인프라 개선 등 대규모 투자비용을 감안하면 건전한 재정운용이 쉽지 않다”며 “불합리한 재정차별로 서울시 재정이 악화되면서 서울시민 1인당 지방세 부담액

사회

더보기


경제핫이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