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2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사회

전주시, 학교 밖 청소년 135명 검정고시 합격!

전주시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2025년 2회 검정고시 합격생 135명 배출 성과(합격률 96.4%)

 

(포탈뉴스통신) 전주지역 학교 밖 청소년 135명이 검정고시에 합격해 진학 등 꿈을 키워갈 수 있게 됐다.

 

전주시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센터장 정혜선, 이하 전주시 꿈드림)는 지난달 12일 전주기전중학교에서 치러진 ‘2025년 제2회 초, 중, 고등학교 졸업 학력 검정고시’에서 전주시 꿈드림 청소년 135명이 합격했다고 밝혔다.

 

이는 총 140명의 응시인원 중 135명(초 2명, 중 15명, 고 118명)이 합격한 것으로 96.4%의 높은 합격률을 기록했다. 앞서 전주시 꿈드림 청소년들은 지난 2025년 제1회 검정고시 검정고시에서도 98.7%의 높은 합격률을 기록한 바 있다.

 

또한 이번 검정고시에 합격한 인원 중 총 8명이 만점을 받아, 올해 총 15명의 만점자를 배출하게 됐다.

 

이에 앞서 전주시 꿈드림은 지난 2월부터 ‘대학생, 학교 밖 청소년 교육협력 지원사업’을 운영하며 학교 밖 청소년들의 학력 취득을 위해 검정고시 대비 개인·소그룹 멘토링과 온라인 강의 등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해 왔다.

 

‘대학생, 학교 밖 청소년 교육협력 지원사업’은 지난 2023년부터 우범기 전주시장의 공약사업으로 시작됐으며, 지역 내 대학과 연계해 도내 대학(원) 재학생과 휴학생, 주소지를 전주로 둔 대학(원)생으로 구성된 꿈멘토단이 학교 밖 청소년들의 학습 및 정서 멘토로서 기초 학습 능력 향상과 사회성 증진을 위해 활동하는 것이 핵심이다.

 

전주시 꿈드림은 이번 검정고시에 합격한 청소년 중 대학 진학을 목표로 한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지역 내 대학 등과 협력해 1:1 진로진학 컨설팅과 대학 입시 설명회(8월 28일~8월 29일, 9월 2일)도 진행했다.

 

정혜선 센터장은 “검정고시 시험이 다가올 때면 긴장하는 아이들을 보며 안쓰러우면서도 매 시험마다 만점자가 배출되는 것을 보면 자랑스럽다”면서 “학교 밖 청소년들이 본인의 꿈을 향해 나아갈 수 있도록 든든한 조력자가 되겠다”고 밝혔다.

 

박금희 전주시 인구정책과장은 “전주시 학교 밖 청소년들이 학업을 포기하지 않고 배움의 권리를 누릴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전주시 꿈드림은 학교 밖 청소년들을 위한 상담지원, 교육지원, 직업체험 및 직업교육훈련, 자립지원 등의 사업을 전액 무료로 진행하고 있다. 참여를 원하는 청소년은 전주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 누리집을 참고하거나 전화로 문의하면 된다.


[뉴스출처 : 전라북도전주시]


포토이슈


정치

더보기
김동연 경기도지사, “이재명 정부, 국가간병책임제를 중심으로 복지와 돌봄에 한 획을 그을 수 있도록 경기도가 앞장” (포탈뉴스통신)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이재명 정부가 국가간병책임제를 중심으로 복지와 돌봄에 있어서 확실한 한 획을 긋고 성공적인 자리매김을 하도록 경기도가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경기도는 2일 오전 10시 국회의원회관 제2세미나실에서 ‘국가간병책임제의 실현, 어떻게 할 것인가’를 주제로 국회 보건복지위원장 박주민 의원을 비롯한 국회의원 11명과 공동으로 정책토론회를 열었다. 김동연 지사는 토론회에 앞서 광역 지자체 최초로 시행 중인 경기도의 ‘간병 SOS 프로젝트’를 소개하며 “3월에 첫 수혜자분을 수원의 한 요양병원에서 만났는데 48년 전에 수술을 받다 시신경을 잘못 건드려 실명을 하셨다고 한다. 실명한 상황에서도 침술과 지압을 배우면서 버텨오셨는데, 병이 재발해 끝없는 와병 생활이 이어졌다고 한다. 간병 중인 아내분께서 저를 붙잡고 우시는데, 마음이 너무 아팠다. 가족 한 분이 편찮을 때 일상이 중단되고 벼랑 끝에 몰림을 목도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간병은 누구의 잘못도 아니다. 누구에게나 닥칠 수 있는 일이다. 간병은 개인이나 가족의 문제가 아니라 공공의 책임, 국가의 책무로 해야되겠다는 생각을 여러

사회

더보기


경제핫이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