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2 (토)

  • 흐림동두천 29.3℃
기상청 제공

스포츠

‘장타자’ 최영준, ‘KPGA 챌린지투어 8회 대회’서 시즌 첫 승 달성

최영준
▲ 최영준

 

(포탈뉴스통신) 최영준(23)이 2025 시즌 ‘KPGA 챌린지투어 8회 대회(총상금 1억 원, 우승상금 2천만 원)’에서 시즌 첫 승을 달성했다.

 

최영준은 17일과 18일 양일 간 경남 합천 소재 아델스코트CC 마운틴, 레이크 코스(파72. 7,013야드)에서 열린 대회 첫째 날 버디 6개와 더블보기 1개를 묶어 4언더파 68타로 공동 16위에 자리했다.

 

대회 최종일 최영준은 매서웠다. 2번홀(파5)에서 버디를 기록한 뒤 이후 보기 없이 이글 1개, 버디 5개를 추가하여 이날만 8타를 줄이며 최종합계 12언더파 132타로 우승을 차지했다.

 

우승 후 최영준은 “올해 아델스코트CC에서 처음 KPGA 챌린지투어 대회가 열렸는데 첫 우승을 하게 되어 정말 기쁘다”며 “뒤에서 힘써 주신 아델스코트CC 관계자분들 그리고 KPGA 임직원분들께 감사하다는 인사를 드리고 싶다. 오늘 대체적으로 샷감이 좋았다. 티샷이 흔들릴 때도 있었지만 카트 도로에 맞고 다시 들어오는 등 운까지 잘 따라줘서 우승을 할 수 있었다”는 소감을 밝혔다.

 

이어 “최종일 7번홀(파5)에서 이글을 잡은 것이 컸다. 티샷이 잘 맞아 두 번째샷을 5번 아이언으로 공략했다. 왼쪽으로 해저드가 있는 부담스러운 상황에서 공이 해저드 라인 안쪽으로 떨어졌다. 경사가 나쁘지 않아 자신 있게 띄워서 어프로치 공략을 했는데 절묘하게 들어갔다”며 이글 상황을 소회했다.

 

8세에 골프를 처음 시작한 최영준은 2년간 골프를 배우다 야구로 전향했다. 야구 선수로 3년간 활동하다 13살의 나이에 다시 골프채를 손에 잡았고 이후 골프에만 전념했다. 2020년부터 2022년까지 국가 상비군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최영준은 2022년 6월 ‘KPGA 챌린지투어 10회 대회’ 종료 후 아마추어 포인트 상위 10명에게 주어지는 KPGA 프로(준회원) 특전을 통해 KPGA 프로에 입회했다. 입회 후 곧바로 ‘KPGA 챌린지투어 12회 대회’서 첫 우승컵을 들어올리며 KPGA 투어프로(정회원) 자격까지 취득했다. 꾸준한 활약을 펼쳐 ‘챌린지투어 상위자’ 자격으로 2023년 KPGA 투어 시드를 확보했다.

 

2023년과 KPGA 투어에 데뷔한 최영준은 그 해 KPGA 투어 ‘장타상’을 수상했으나 시드 유지에는 실패했다. 2024년은 시드 대기자 신분으로 5개 대회에 출전했으나 별다른 성적을 거두지 못했고 올 시즌 KPGA 챌린지투어에서 활동하고 있다. 역대 KPGA 투어 최고 성적은 2023년 ‘KPGA 군산CC 오픈’서 기록한 공동 10위다.

 

최영준은 “올해 챌린지투어 3승을 달성하는 것이 목표”라며 “계속 꾸준히 플레이해서 내년에 KPGA 투어 시드를 확보해 복귀하겠다”라는 의지를 나타냈다.

 

김병준2429(22)과 천승희(27)가 최종합계 11언더파 133타 2위로 대회를 마감했다.

 

한편 현재 KPGA 챌린지투어 통합포인트와 상금순위 부문에서는 ‘1회 대회’서 우승한 양희준(25)이 각각 49,760.08포인트, 46,336,244원으로 1위를 달리고 있다.

 

‘KPGA 챌린지투어 9회 대회’는 19일부터 20일까지 이틀 간 같은 장소에서 열린다.


[뉴스출처 : KPGA]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포토이슈

1 / 5

정치

더보기
이재명 대통령 "균형발전은 국가 생존전략…지방에 더 많이 지원" (포탈뉴스통신) 이재명 대통령은 1일 "균형 발전은 국가의 생존을 위한 생존 전략"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전국 시도지사 간담회 모두발언에서 "자치와 분권은 대한민국의 중요한 국정과제"라며 이 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은 그동안 불균형 성장을 국가의 성장전략으로 채택해온 것이 사실"이라며 "그러다 보니 모든 자원이 특정 지역과 특정 영역에 집중됐고, 그 부작용으로 수도권 일극 체제가 생겨났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한때는 이 방식이 매우 효율적인 발전 전략이었지만 지금은 성장과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가 됐다"며 "이제 균형발전은 지역이나 지방에 대한 배려나 시혜가 아닌 국가의 생존을 위한 전략이라고 새 정부는 생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이번 소비쿠폰 지급에서도 수도권보다 지방에 더 인센티브를 지급했다"며 "똑같이가 아니라 더 많은 지원을 해야 비로소 균형을 조금이라도 유지할 수 있다는 생각을 이번 정책으로 나름 시현해 봤다"고 설명했다. 이어 "앞으로 국가 정책 결정이나 예산 재정 배분에서도 이런 원칙을 최대한 강화해 나가려고 한다"고 밝혔다. 자치와 관련해 이 대통령은 "'지방자치는 민주주의를 배우는

사회

더보기


경제핫이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