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8 (토)

  • 흐림동두천 12.5℃
  • 흐림강릉 11.9℃
  • 흐림서울 15.4℃
  • 흐림대전 15.3℃
  • 흐림대구 14.8℃
  • 흐림울산 14.9℃
  • 광주 14.2℃
  • 부산 15.4℃
  • 흐림고창 15.0℃
  • 제주 18.2℃
  • 흐림강화 11.9℃
  • 흐림보은 13.2℃
  • 흐림금산 14.3℃
  • 흐림강진군 14.5℃
  • 흐림경주시 13.4℃
  • 흐림거제 15.0℃
기상청 제공

식품

농촌진흥청 개발 콩 신품종 이렇게 재배하세요

농진원 통해 8종 보급, 표준 재배법 꼭 지켜 안정적 생산 확보

 

(포탈뉴스) 농촌진흥청은 한국농업기술진흥원을 통해 보급하는 콩 신품종의 특성 및 재배 방법을 소개했다.


이번에 보급하는 품종은 △장류 및 두부용 ‘선풍’, ‘대찬’, ‘미풍’, ‘대풍2호’, ‘미소’ △혼반 및 가공용 ‘청미인’, ‘세움’ △나물용 ‘신바람’ 총 8품종이다.


대립종인 ‘선풍’과 ‘대찬’은 수량이 많고 쓰러짐에 강하다. 꼬투리 달리는 위치가 높아서 기계 수확에 적합하며 ‘대원콩’보다 수량도 많아 논에서 재배할 수 있는 주요 품종이다. 10아르(a)당 수확량은 ‘선풍’ 340㎏, ‘대찬’ 330㎏으로 ‘대원콩’보다 각각 21%, 16% 많다. ‘대찬’은 수확 시기가 지나면 꼬투리가 터질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제때 수확해야 한다.


‘미풍’은 대립종(28.3g/100알)으로 맨 아래 꼬투리가 달리는 위치가 높고 쓰러짐에 강해 기계 수확에 적합하다. 수량이 10아르당 360kg으로 ‘대원콩’보다 7% 많은 다수성 품종이다. 성숙기가 느려 이모작 재배는 적합하지 않으며, 생육이 왕성하므로 지나치게 빽빽이 심지 않는다. 매우 비옥한 땅에서는 적정량의 비료를 준다.


‘대풍2호’는 수량이 많은 중립종(20.9g/100알)이다. 쓰러짐과 꼬투리 터짐에 강해 기계 수확에 적합하고, 이소플라본 함량이 1그램(g)당 3,251마이크로그램(㎍)으로 ‘대원콩’보다 33% 높아 기능성이 우수하다. 알맹이가 작아 제때 심어야 하며, 꼬투리가 달리고 알이 차는 시기에 수분을 충분히 공급해야 한다.


‘미소’는 비린 냄새에 관여하는 효소를 제거해 두유용에 적합하다. 대립종(28.2g/100립)이며 꼬투리 달리는 위치가 높아서 기계 수확에 적합하다. 성숙기에는 꼬투리가 터지기 쉬우므로 성숙 후 바로 수확한다.


‘청미인’은 불마름병과 꼬투리 터짐에 강한 녹색 콩이다. 수확 후 보관할 때 햇빛에 노출되면 껍질 색이 연해질 수 있으므로 유의한다.


‘세움’은 쥐눈이콩으로 불리는 검정 녹자엽 소립종(11.4g/100알)이다. 기존 품종의 단점을 개선해 쉽게 쓰러지지 않으며 수확량이 많다. 껍질에 하얀 피분이 나타나는 특성이 있다. 빽빽하게 심으면 쓰러질 수 있으므로 주의하고 성숙기에 꼬투리가 터질 수 있으므로 제때 수확한다.


‘신바람’은 황색 소립종(10.2g/100알)이며, 콩나물용으로 적합하다. 자반립, 갈반립, 미이라 등 종자 품질을 떨어뜨리는 병의 발생률이 낮아 종자 겉모습이 깨끗하다. 싹트는 비율도 높아 콩나물 수율도 좋다.


앞서 소개한 콩 품종들은 표준 재배 양식을 잘 지켜 재배해야 좋은 품질과 안정적인 수확량을 확보할 수 있다.


종자 신청은 2월 22일까지 각 시군농업기술센터로 하면 된다. 2kg당 장류·두부용, 콩나물용 콩은 1만 3,000원, 혼반 및 가공용 콩(유색콩)은 1만 7,200원에 판매한다.


농촌진흥청 밭작물개발과 김춘송 과장은 “신품종은 기존 품종보다 재배성능이 좋아져 보다 안정적으로 콩을 생산할 수 있을 것 같다.”라며, “앞으로도 재배하기 쉽고 수확량이 많으면서 기계 수확이 가능한 신품종을 신속히 보급하겠다.”라고 전했다.


[뉴스출처 : 농촌진흥청]


포토이슈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다시 돌아온 ‘경기 살리기 통큰 세일’…경상원 “소비자 편의 위해 절차·혜택 대폭 개선” (포탈뉴스통신) 지난 6월 경기도 내 400여 개 상권이 참여해 최대 20%의 페이백을 지급한 대규모 소비 촉진 행사 ‘경기 살리기 통큰 세일’이 다시 찾아왔다.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은 하반기 통큰 세일을 오는 22일부터 30일까지 경기도 전역에서 진행한다고 밝혔다. 하반기 행사는 상인들과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페이백 방법을 간소화했으며 혜택도 늘렸다. 지난 상반기에는 상권별로 마련된 페이백 부스에서 종이 영수증을 확인하고 조건 충족 시 지류 온누리 상품권 또는 경품 등을 지급했다. 당시 많은 사람들이 몰려 대기 시간이 길어지면서 일부 현장의 불만이 발생했고 실제로 민생 현장 간담회에서도 이 내용이 지속 화두에 올랐다. 이후 경상원은 소비자들의 불편을 해소하고 상인회가 행사에 집중할 수 있도록 경기지역화폐를 활용해 자동 페이백 시스템을 구축했고 결제부터 페이백까지 한 번에 이뤄지도록 개선했다. 하반기부터는 소비자가 경기지역화폐로 결제하면 페이백이 사용자 지역화폐로 자동 입금된다. 실물카드 없이 지역화폐 애플리케이션 ‘지역상품권 착’(Chak)으로 운용하는 성남, 시흥시도 지역화폐 앱 결제 시 똑같이 적


경제핫이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