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탈뉴스) 전북도는 대통령 공약인 ‘전북 금융중심지 지정’에 대한 타당성을 분석하고, 글로벌 금융시장의 미래 수요에 부합하는 자산운용, 디지털 금융모델을 비롯해 전북의 신산업인 이차전지, 재생에너지 등 지역 특성과 연계한 ‘전북 금융허브 종합개발 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을 본격 착수했다.
전북도는 28일 도청에서 천세창 전라북도 기업유치지원실장을 비롯한 금융 유관기관 및 관련 전문가 등 1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전북 금융허브 발전전략 및 마스터플랜 수립’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하고 추진계획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용역의 수행기관은 2021년 금융위원회의 ’대한민국 지역특화 금융산업 발전방안 연구’을 수행한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선정됐으며, 2024년 12월까지 과업을 수행하게 된다.
주요 과업은 ▲글로벌 금융환경 여건 분석, ▲전북 금융중심지 지정의 타당성 검토, ▲전북 금융허브의 주력부문 설정 및 발전전략 도출, ▲전북 금융허브의 종합개발계획 수립, ▲기대효과 등이며,
연구용역 수행 과정에서 국책연구기관, 학계, 금융기관, 지역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금융포럼을 별도로 구성・운영(분기별 1회 이상)하여 연구용역의 효과성을 제고할 계획이다.
전북도는 이번 연구용역을 바탕으로 최신 글로벌 금융·경제환경과 전북 신산업 등 지역 특성에 맞는 금융허브 발전계획을 금융위원회에 선제적으로 제시하여 금융중심지 지정을 위한 정부계획 반영을 이끌어낸다는 계획이다.
천세창 전북도 기업유치지원실장은 “우리 도는 전북국제금융센터 건립을 위한 민간투자 협약(‘23.11월), 글로벌 자산운용사의 전주사무소 추가 개소,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른 금융산업 육성 특례 반영 등을 통해 금융도시 조성 여건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고 있다”며, “이번 연구용역을 통해 전북의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완성도 있는 전북 금융허브 발전전략을 마련하여 전북이 글로벌 금융도시로 성장해 나아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뉴스출처 : 전라북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