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0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전라북도의회 이정린 도의원,사회과 지역화 교과서, 주민과 함께 만들어야

지역사회의 특색과 문화가 반영된 자료로 제작되어야

 

(포탈뉴스) 도내 14개 시·군지역 지역화 교과서 개발·보급이 요식행위로 보여져서는 안된다는 질책이 나왔다.

 

전북도의회 이정린(남원1·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7일 도내 14개 시·군교육지원청에 대한 예산심의에서 “관내 학교 교원들이 지역화 교과서를 개발하는 것 자체가 이해가 안된다”면서 “개발해야 하니까 개발하는 교과서가 아닌 지역주민과 학생들이 참여한 민·관·학 개발이 이뤄져야만 할 것”이라고 강하게 주장했다.

 

2024년도 교육비특별회계 14개 시·군교육지원청의 사회과 지역화 교재 발간 사업 예산을 살펴보면, 모두 관내 교원들이 참여해 협의회 수당과 검토 수당을 편성했다.

 

협의회 수당은 1인당 1만5천원, 검토 수당은 1인당 4만원으로 편성했다. 하지만, 이들 모두가 교원이라는 점을 이정린 의원은 지적했다.

 

이정린 의원은 “지역화 교과서는 지역민들과 학생들이 더 잘 알고 있다”면서 “하지만, 때가 되면 자리를 이동하는 교원들이 지역화 교과서를 만든다는 발상 자체가 말이 안된다”고 지적했다.

 

특히, 협의회 수당을 지급하는 횟수는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많게는 4회 교원 1인당 총 6만원의 협의회 수당을, 적게는 협의회를 1회 진행할 계획이라고 예산안에 직시해놨다.

 

이 의원은 “짜여진 예산으로 협의회 개최 횟수를 조정한 것인지, 아니면 협의회의 중요성을 몰라서 그러는 것인지”라면서 “그렇다면,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잘 아는 지역주민들은 협의회에도 참석을 못하는 것이냐”면서 “교원들이 일방적으로 개발하는 교과서는 구시대적 발상”이라고 강하게 질책했다.

 

아울러, 지역별로 검토 수당은 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많게는 교원 1인당 32만원의 검토수당의 예산이 있는 반면, 적게는 16만원의 검토수당의 예산이 편성되어 있다.

 

더 큰 문제는 지역화 교과서 제작 비용보다 교원들에게 편성된 협의회 수당과 검토 수당이 더 많이 편성됐다는 것이다.

 

이정린 의원은 “교과서 제작 비용보다 교원들의 수당이 많은 것을 보면 누구를 위한 지역화 교과서인지 당최 모르겠다”면서 “지역화 교과서를 개발한다면 지역주민들이 더욱 잘 만들 것이다. 왜 지역주민들을 빼놓고 교원들끼리만 지역화 교과서를 만들 예정인가. 정말 문제 있는 것 아닌가?”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지역화 교과서를 개발한다면, 지역주민들과 지역의 애향심을 고취할 수 있도록 학생들도 함께 참여해 제작되어야 할 것”이라고 강하게 주장했다.


[뉴스출처 : 전라북도의회]


포토이슈



사회

더보기


경제핫이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