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8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스포츠

2025 KBO 리그 1,200만 관중 달성

역대 최초 1,200만 관중 달성, 매 경기 신기록 경신

 

(포탈뉴스통신) 2025 신한 SOL뱅크 KBO 리그가 1,200만 관중을 달성했다.

 

27일 3개 구장에서 총 5만 5,695명이 입장하며 총 703경기에서 누적 관중 1,201만 9,267명이 입장해, 평균 관중은 1만 7,097명으로 지난해 동일 경기 수 대비 약 15% 증가했다. KBO 리그 전체 좌석 점유율은 82.9%를 기록 중이다.

 

올 시즌 KBO 리그는 100만명 단위 관중 달성을 모두 역대 최소 경기로 달성한 바 있다. 또한, 지난 8월 23일 2시즌 연속 1,000만 관중 달성, 9월 5일 역대 한 시즌 최다 관중 신기록 달성, 9월 9일 역대 최초1,100만 관중 달성에 이어 1,200만 관중을 달성하며 또 한번 새로운 기록을 작성하게 됐다.

 

삼성은 KBO 리그 최초로 단일 시즌 160만명 관중을 돌파한 구단이 됐다. 삼성은 9월 27일까지 치른 홈 70경기에서 총 관중 161만 6,241명을 기록하고 있고, 홈에서 한 경기를 더 남겨두고 있어 기록을 늘릴 전망이다. 뒤를 이어 2025시즌 홈 경기를 마무리한 롯데가 150만 7,704명으로 구단 최초로 150만 관중을 넘겼다. LG도 남은 홈 2경기에서 150만명을 넘길 것으로 전망된다. 이어서 두산이 140만명을 넘었고, SSG 120만명, 한화 110만명, KIA가 100만 관중을 넘기며 7개 구단이 100만 관중 이상을 달성했다.

 

또한 삼성, LG, 두산, KT, SSG, 롯데, 한화, 키움 8개 구단이 한 시즌 최다 관중 동원 구단 자체 기록을 경신했다. 홈에서 두 경기를 남기고 있는 NC도 2만 7,214명이 더 입장할 경우 구단 한 시즌 최다 동원 기록을 경신한다.

 

매진 경기 수는 2024시즌 달성된 단일 시즌 최다 매진 경기 수 221경기를 넘어, 27일까지 치른 703경기 중 약 45.7%에 해당하는 321경기에서 매진을 기록했다. 구단 별로는 한화가 홈 71경기 중 60차례로 가장 많은 매진을 기록했다. 이어서 삼성이 홈 경기 70경기 중 53차례, 롯데가 73경기에서 44차례, LG가 69경기에서 41차례 등 4개 구단이 40차례 이상 매진을 기록하고 있다.


[뉴스출처 : KBO]


포토이슈


정치

더보기
김동연, “정보시스템 장애, 도민 입장에서 불편 덜어드릴 방법 강구해달라” (포탈뉴스통신) 지난 26일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와 관련해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도민 입장에서 최대한 불편을 덜 수 있는 방안을 신속히 강구하라고 당부했다. 27일 중국 출장을 마치고 귀국한 김동연 지사는 28일 오전 경기도청 재난안전대책본부 상황실에서 김성중 행정1부지사와 최용철 소방재난본부장 직무대리, 이종돈 안전관리실장 등 관련 실국장이 참석한 가운데 ‘경기도 정보시스템 긴급조치 상황 점검 회의’를 열었다. 김 지사는 AI국과 자치행정국, 안전관리실, 소방재난본부 등 이번 화재를 피해가 예상되는 민원 서비스 담당 국장들에게 피해상황과 복구현황 등을 물으며 향후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김 지사는 “불편을 겪을 도민들, 경기도나 도 공공기관과 거래를 하고 있는 시장 주체들 입장에 서서 어떻게 하면 좀 더 불편을 덜어드릴 수 있을지 각각 방법을 강구해달라”면서 “신속하게 대책을 만들어서 차질 없이 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불편을 겪지만 경기도와 31개 시군이 자상하고 정확하게 안내해줘서 고마웠다는 얘기를 들을 수 있도록 민원인, 도민 입장에서 대응해주시길 바란다”며 “도민들의 안

사회

더보기


경제핫이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