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6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정용학 진주시의원, 수자원 통합관리 협력체계 구축과 상수 전용댐 신설 제안

다목적 한계 드러낸 남강댐…“이젠 기능 재정립·분리할 때”

 

(포탈뉴스통신) 올여름 기록적인 집중호우로 남강댐 유역이 초긴장 상태에 놓였던 가운데, 진주시의회 정용학 의원이 남강댐의 구조적 한계를 지적하며 기능 재정립과 분리 필요성을 강하게 제기했다.

 

상수원 취수 용도의 댐을 따로 짓자는 주장이다.

 

정 의원은 16일 제268회 임시회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지난 7월 남강댐 수위가 불과 30cm만 더 상승했다면 대피 명령이 내려질 상황이었다”며 “비가 멈추지 않았다면 진주와 사천, 나아가 낙동강 합류부와 연결된 의령, 함안, 창녕 일대까지 대재앙을 겪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당시 남강댐 방류량이 남강 본류 방면 초당 800톤, 사천만 방면 5460톤까지 치달음에도 유입량은 1만 7000톤 수준으로 늘어 계획홍수위까지 30㎝를 남긴 급박한 상황이 연출됐다.

 

만약 비가 적시에 그치지 않았다면 시민 10만 명에게 대피 명령이 떨어질 수 있었다.

 

이에 정 의원은 “농업용수 공급과 홍수 조절 기능은 기존 남강댐이 맡되 상수원은 별도의 상수 전용 댐을 신설해 취수 기능을 분산시켜야 한다”며 댐의 기능 재정립과 역할 분리를 요구했다.

 

댐 운영의 ‘딜레마’도 지적됐다.

 

방류를 늘리면 하류 도시의 침수 위험이 커지고, 줄이면 산청 등 상류 저지대가 위협받는 구조라는 것이다.

 

정 의원은 “지금의 다목적 댐 체계는 평시엔 효율적일지 몰라도 재난 상황에선 기능들이 상충돼 더 큰 피해를 낳는다”고 꼬집었다.

 

또 다른 대책으로는 남강댐 상·하류 지자체와 한국수자원공사의 공동 협의체 구성, 남강댐 준설을 통한 담수량 확대 등이 제시됐다.

 

정 의원은 “기후위기 시대, 더 늦기 전에 댐 운영 체계를 근본적으로 바꿔야 한다”며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 실질적인 대책과 국가적 수자원 정책 개선을 반드시 끌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뉴스출처 : 경상남도진주시의회]


포토이슈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경제핫이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