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3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경제

제주도 상장기업 육성 정책, ‘제농 S&T’투자유치 성과

상장기업 육성 지원사업 참여기업 제농S&T, 80억 원 규모 투자유치 성공

 

(포탈뉴스통신) 제주특별자치도가 추진하는 상장기업 육성 지원사업이 가시적 성과를 거두고 있다.

 

제주도의 지원을 받고 있는 ㈜제농S&T 농업회사법인(대표 김태형)이 올해 상반기 80억 원 규모의 투자유치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제농S&T는 양파, 수박, 고추, 무, 단호박 등 채소종자 신품종을 개발·보급하는 종자개발 기업으로, 국내 시장 확대와 해외 수출에 적극 나서고 있다.

 

특히 신품종 개발이 까다로운 양파 종자에서 자체 육종 기술을 확보해 글로벌 종자기업과의 협업과 해외시장 진출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

 

이번 투자에는 나우아이비캐피탈, 현대기술투자&파이오니어인베스트먼트, CJ인베스트먼트, 패스파인더H, 프롤로그벤처스, 지티오인베스트먼트 등 국내 주요 그린바이오 및 농식품 분야 펀드가 대거 참여했다.

 

나우아이비캐피탈 문지선 수석심사역은 “종자 산업은 미래 식량 안보와 직결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글로벌 시장 규모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며 “제농S&T는 우수한 신품종 개발 역량을 바탕으로 글로벌 종자 분야의 핵심 기업으로 성장할 잠재력이 크다”고 평가했다.

 

양광렬 제농 S&T 최고재무책임자(CFO)는 “글로벌 수준의 연구개발(R&D) 기술력을 인정받아 어려운 시장 환경에서도 투자 유치에 성공할 수 있었다”며 “투자금은 연구개발 강화와 해외시장 개척, 재무구조 개선 등에 집중 투입해 기업공개(IPO) 준비에도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제농S&T는 2023년부터 제주도가 추진하는 상장기업 육성 지원사업을 통해 내부통제시스템 및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K-IFRS) 회계시스템을 갖추고 기업지배구조를 정비하는 등 상장 기반을 다져왔다.

 

하반기에는 한국거래소 지정 전문평가기관을 통한 코스닥 기술특례 상장 예비기술성 평가도 진행할 계획이다.

 

김미영 제주도 경제활력국장은 “제농S&T는 종자 주권과 식량 안보라는 국가적 과제에 부응하며 제주 토종기업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며 “앞으로도 상장기업 육성 지원사업을 통해 지역 기업이 국내외에서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뉴스출처 : 제주도]


포토이슈


정치

더보기
김동연 경기도지사, “산업현장의 안전, 노동자의 안전한 귀가 위해 가장 적극적으로 대처” (포탈뉴스통신)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정부의 근로감독권 위임에 대비해 특별조직을 구성하는 등 적극적인 대처를 강하게 지시했다. 김동연 지사는 3일 도청에서 ‘근로감독권 실행 전략 점검회의’를 열고 “새 정부 국민주권정부에서 근로감독권 위임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면서 “산업 현장의 안전과 노동자가 안전하게 일 마치고 귀가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기 위해 가장 적극적으로 대처하겠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이어 “경기도는 법적 근거도 없던 2020년부터 노동안전지킴이를 선제적으로 운영했다. 이 대통령의 지사 시절인 민선7기, 제가 취임한 민선8기까지 지속적으로 정부에 근로감독권 위임을 요청했다”며 “TF를 만들어서 운영할 예정인데, 노동부와 협의 과정에서 노동안전지킴이 등 우리의 노하우와 경험을 충분히 전달해 전국적인 정책의 틀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되도록 적극 참여하자”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근로감독) 인원을 어떻게 충당할 것이며, 예산 문제는 중앙정부가 어떻게 조달이 될 것이며, 이 사람들이 어떤 전문성을 가지고 현장에서 착근할 수 있을 것에 대해서도 경기도의 경험을 살려 고용부와 충분히 협의해 실행 단계에서 차질

사회

더보기


경제핫이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