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5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사회

제80주년 광복절 계기 독립유공자 정부포상, 경남 출신 독립운동가 21명 서훈 영예

여성 독립운동가 1명을 포함한 경남 출신 독립유공자 21명 선정

 

(포탈뉴스통신) 경상남도는 국가보훈부가 제80주년 광복절을 계기로 발표한 독립유공자 포상에서 경남 출신 독립운동가 21명이 서훈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정부포상에서 경남 출신 독립유공자는 지난 3월에 있었던 제106주년 3.1절 계기 독립유공자 정부포상(경남 18명) 보다 3명이 더 늘었다.

 

특히, 이번 광복 80주년을 맞아 정부포상을 받은 경남 출신 독립유공자 중에는 여성 독립운동가 1명이 포함되어 있으며, 경남 출신 여성 독립운동가가 포상받은 건 지난해 제105주년 3.1절 포상 이후 처음이다. 포상 훈격으로는 건국훈장 애국장 2명, 건국훈장 애족장 7명, 건국포장 2명, 대통령표창 10명이고, 포상자 중 생존 애국지사는 없다.

 

김해운 선생은 1909년 2~3월 전북 장수ㆍ금산, 충북 영동, 경남 거창에서 전상진의진에 속하여 군자금을 모집하다가 체포되어 종신 징역을 받는 등 독립에 기여함이 인정되어 애국장에 추서됐다.

 

오동휘 선생(애국장)은 1941년 일본 도쿄에서 동지들과 함께 독립운동 방안을 모색하고 총궐기를 계획하다 체포되어 징역 2년을 받고 옥고를 치르다 순국했다. 마찬가지로 일본 도쿄에서 활동한 이장우 선생(애족장)은 1940년 일본대학 제2상업학교 재학 중 동교생들과 독립운동 방안을 논의하다 체포되어 징역 2년 집행유예 4년을 받았고, 정춘수 선생(애족장)은 1941년 5월 이후 일본 도쿄에서 조선인 차별에 반대하고, 동년 11월 ‘우리조선독립운동그룹‘에서 활동하다 체포되어 징역 3년을 받았다.

 

이번에 포상받은 경남 출신 독립유공자 중 유일한 여성 독립운동가인 김덕순 선생(대통령표창)은 1930년 서울 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 4학년 재학 중에 서울과 경남 마산(현 창원시)에서 신사상 연구를 위한 독서회에 가입하여 활동하다가 체포되는 등 독립에 기여한 공적이 인정됐다.

 

경남 각 지역에서 일어난 3.1운동에 참여한 포상자로는 1919년 3월 20일 합천군 대병면 창리 시장에서 태극기를 흔들며 만세운동에 참여한 송명옥 선생(건국포장)과 1919년 3월 중순 의령군 의령면 만세운동에 참여한 남인섭 선생(대통령표창), 1919년 3월 18일 산청군 산청면에서 만세운동을 계획하고 독립선언서ㆍ태극기 등을 인쇄한 신영희 선생(대통령표창), 1919년 3월 19일 진주군 진주면에서 만세운동에 참여한 이영규 선생(대통령표창) 등이 있다.

 

경남도는 민선 8기 시작과 더불어 지역의 미서훈 독립운동가들의 희생에 보답하기 위해 도가 직접 서훈신청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동안 발굴 조사한 거증자료를 바탕으로 2023년 12월부터 보훈부에 서훈 신청서를 제출하여 올해 6월까지 총 102명의 서훈 신청을 완료했고, 이달 말 올해 2차 서훈 신청 앞두고 자료 수집과 공적서 작성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전범식 경남도 복지정책과장은 “광복 80주년을 맞아 조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한 스물한 분의 숭고한 희생에 이제라도 보답할 수 있어 뜻깊게 생각한다”라며, “서훈을 받지 못한 독립운동가들의 공적이 제대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일제강점기 판결문과 수형기록 등 객관적 입증자료 발굴에 적극 나서, 한 분이라도 더 서훈의 영예를 안겨드리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에 포상된 경남 출신 독립유공자 현황은 아래와 같다. 국가보훈부가 발표하는 독립유공자 본적지는 광복 이전 행정구역을 기준으로 하고 있어 당시 경상남도였던 부산, 동래, 울산, 언양, 안의 지역을 포함한다.

 

▶ 훈격 : 유공자명(운동계열, 본적지)

 

▶ 건국훈장 애국장(2명) : 김해운(의병, 안의), 오동휘(일본방면, 동래)

 

▶ 건국훈장 애족장(7명) : 김종한(만주방면, 부산)ㆍ심종보(일본방면, 마산)ㆍ이용택(국내항일, 마산)ㆍ이장우(일본방면, 함양)ㆍ정개이(3.1운동, 산청)ㆍ정춘수(일본방면, 함안)ㆍ정현재(3.1운동, 합천)

 

▶ 건국포장(2명) : 권오황(일본방면, 양산)ㆍ송명옥(3.1운동, 합천)

 

▶ 대통령표창(10명) : 강금수(3.1운동, 사천)ㆍ김덕순(국내항일, 마산)ㆍ김동하(국내항일, 울산)ㆍ남인섭(3.1운동, 의령)ㆍ박삼진(3.1운동, 의령)ㆍ박성천(3.1운동, 산청)ㆍ신영희(3.1운동, 산청)ㆍ이상엽(학생운동, 부산)ㆍ이영규(3.1운동, 진주)ㆍ정문규(학생운동, 동래)


[뉴스출처 : 경상남도]


포토이슈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수해복구에 구슬땀’ 진교훈 강서구청장, 수해 현장서 팔 걷어 (포탈뉴스통신) 진교훈 서울 강서구청장이 14일 극한 폭우로 피해를 입은 방화동 일대 수재민 가구를 찾아 복구작업에 팔을 걷었다. 이날 수해복구 지원에는 의용소방대, 새마을부녀회, 환경공무관 등 70여 명이 동참해 따뜻함을 더했다. 진 구청장과 봉사자들은 덥고 습한 날씨에도 반지하 주택과 창고, 도로에 쌓인 수해 잔해물을 치우며 복구에 몰두했다. 오후 1시부터 시작된 복구작업은 2시간 넘게 이어졌다. 이날 8가구에 수해 복구가 이뤄졌다. 작업자들이 치운 폐기물만 무려 15톤에 달했다. 한국전기안전공사의 협조를 구해 긴급조치가 필요한 침수 피해 5가구에 대한 전기 안전점검도 진행했다. 콘센트와 전등을 설치하는 등 임시조치도 취했다. 구는 수재민에 임시 숙소를 제공하는 한편, 복구 작업이 필요한 곳을 지속적으로 파악해 지원할 계획이다. 또, 광복절과 맞물린 3일 연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수재민 불편을 최소화 하기 위해 이 기간 동안 해당 지역에 쓰레기 수거 특별 기동반을 운영한다. 진교훈 구청장은 “극한 폭우로 피해를 입은 주민들이 하루빨리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가용 가능한 모든 인력과 자원을 총동원해 신속한 복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뉴스출


경제핫이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