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1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양산시립독립기념관, 광복 80주년 특별기획전‘영축산의 외침, 나라를 구하다’ 개최

통도사 독립운동 조명, 통도오절 유품 등 100여점 전시

 

(포탈뉴스통신) 양산시립독립기념관은 광복 80주년과 기념관 개관 2주년을 맞아 8월 15일부터 12월 14일까지 특별기획전 '영축산의 외침, 나라를 구하다'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는 세계문화유산 통도사(通度寺) 소속 스님들의 일제강점기 항일독립운동으로 이어진 발자취를 조명하고, 오랫동안 면밀히 이어진 호국불교의 정신을 널리 알리고자 기획됐다.

 

특히 김구하 스님, 양만우 스님, 김말복 스님 등 근현대 통도사의 고승들이 펼친 항일 실천과 활동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와 함께한 독립운동의 구체적 면모를 전시를 통해 드러낼 예정이다.

 

전시는 총 3부 구성으로 진행된다.

 

1부에서는 만해 한용운, 백초월, 오택언 등 통도사 지방학림의 역할과 경남 최초의 만세운동인 ‘신평만세운동’을 중심으로 양산 지역의 항일운동을 다룬다.

 

주요 전시품으로는 성해선사 회갑기념사진, 통도사 금강계단중수보조기 현판, 한용운 유묵, 백초월 사군자, 오세창 유묵 등이 있다.

 

2부에서는 통도사 주지였던 구하 스님이 주도한 사찰 재정 일원화, 불교잡지 간행, 상해임시정부 재정 지원 등의 활동과 함께, 만우 스님의 항일 실천 및 ‘만당사건’ 등의 관련 사건을 조명한다.

 

특히 구하 스님의 일대기를 기록한 구하역사, 축산보림 초간본 및 일본 방문시 기개를 담은 저항시가 최초 공개된다.

 

3부에서는 통도사에서 설립·운영한 명신학교의 연혁과 변천 과정을 살펴보며, 김말복 스님과 통도중학교의 배일교육 실천 모습을 보여준다.

 

전시자료로는 1939년과 1967년 졸업앨범, 학적부, 제적부, 사설강습회 인가신청서 등 다양한 원본 자료가 포함된다.

 

이번 특별전에서는 특히 구하 스님의 회갑기념시와 유묵, 통도중학교 관련 졸업대장과 제적부 등 그동안 공개되지 않았던 희귀 자료들이 처음으로 일반에 공개될 예정이다.

 

아울러, 그동안 구전으로만 전해지던 통도중학교 배일교육의 실체를 보여주는 인물 사진과 서류들도 최초 선보일 예정이다.

 

신용철 양산시립독립기념관장은 “이번 전시는 단순한 역사 전시를 넘어, 우리 지역이 간직한 통도사의 정신이 일제강점기 항일운동으로 어떻게 이어졌는지를 조명하는 뜻깊은 기회”라며 “많은 시민들이 이번 전시를 통해 지역의 자긍심과 광복 80주년의 의미를 되새기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광복절인 8월 15일 당일은 상설실과 특별전시실의 야간관람도 가능하다.

 

자세한 문의사항은 양산시립박물관 독립기념관팀으로 연락하면 상세한 안내를 받을 수 있다.


[뉴스출처 : 경상남도양산시]


포토이슈


정치

더보기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 기념식 찾은 김동연 경기도지사 “위안부 할머님들 명예와 존엄, 온전한 회복에 모든 책임 다하겠다” (포탈뉴스통신)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을 맞아 위안부 할머니들의 명예와 존엄이 온전히 회복되는 날까지 모든 책임을 다해나가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김동연 지사는 9일 광주시 나눔의 집에서 열린 기림의 날 기념식 및 기림문화제에 참석해 피해자들의 뜻을 기리며 이같이 말했다. 기념식에는 더불어민주당 소병훈·안태준, 국민의힘 송석준 국회의원이 함께했다. 김 지사는 기념사를 통해 “1991년 8월 김학순 할머님께서 위안부 피해 사실을 처음으로 세상에 공개한 지 34년의 세월이 흐르는 동안 진실을 밝히셨던 할머님들의 큰 뜻과 용기에 우리는 ‘완전한 해결’이라는 답으로 보답하지 못했다”면서 “그 사이 240분의 할머님 중 234분이 우리 곁을 떠나셨다. 해마다 할머님들을 떠나보내며 할머님들을 결코 잊지 않겠다는 다짐과 함께 하루하루가 더욱 절박하게 다가온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이어 “경기도는 우리 곁을 먼저 떠나신 어르신들, 본명조차 기록되지 않은 채 사라진 많은 피해자분들을 평화와 인권의 가치를 일깨운 역사의 증언자로 기억하고자 한다”면서 “할머님들의 명예와 존엄이 온전히 회복되는 그날

사회

더보기


경제핫이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