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탈뉴스통신) 서울 노원구가 지난 3일 상계한신3차 재건축 신속통합기획 계획안을 서울시에 자문 신청했다고 밝혔다.
상계한신3차아파트는 기존 15층, 348세대의 단지다. 소규모 단지인 만큼 사업성 확보가 중요했는데, 이번 계획안에 ‘사업성 보정계수’의 최대치를 적용해 허용용적률을 높이면서 임대주택의 비율은 줄어들고, 일반분양 비율을 늘렸다. 계획안에 따르면 단지는 용적률 299.5%에 최고 35층, 총 467세대를 건립하게 된다.
노원구에는 2025년 기준 30년 이상 노후 공동주택(200세대 이상)이 73개 단지, 8만 3천여 세대에 해당하여, 전방위적인 재건축 추진이 줄을 잇고 있다. 구 역시 열악한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 민관 협력으로 활로를 뚫는 노력을 더해 왔다. 재건축 규제 완화, 안전진단비용 선지원 근거 마련 등 제도개선이 대표적인 성과다. 다만, 안전진단 절차의 문턱이 낮아진 이후 시장환경의 변화 등으로 사업성 확보가 난관을 겪으며 전반적인 동력이 떨어진 상태였다.
그러나 지난 2022년부터 운영해 온 재건축재개발 신속추진 포럼 등 민간 추진주체와 소통, 대응 역량을 강화한 노력으로 점차 속도를 내는 단지들이 나타나고 있다. 상계한신3차는 노원에서 서울시에 ‘신속통합기획’을 신청한 4번째 단지에 해당한다. 이에 더하여 7개 단지의 재건축 계획안이 구에 접수되어 서울시 자문신청을 준비하는 단계를 거치고 있다.
신속통합기획은 재건축의 첫 단계에 해당하는 정비계획 수립 단계에서부터 서울시의 사전 자문을 통해 절차의 단축을 지원하는 제도다. 또한 지난해 12월 법개정으로 올해 6월 4일부터 ‘정비구역 지정 전 추진위원회 구성’이 가능해졌고, 재건축 진단 실시가 사업시행계획 인가 전까지로 허용되는 등 관련 제도개선의 효과가 더해지면 사업기간이 크게 단축될 것으로 기대된다.
구 관계자는 사업성 보정계수 도입 등의 효과가 어느 정도 작용한 것으로 평가하며, 보다 현실적인 사업성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서울시 등 관계기관과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11개 단지가 신속통합기획을 추진하는 등 가시적인 움직임과 함께 주변 다른 단지들도 재건축 추진의 속도가 붙을지 주목된다.
오승록 구청장은 “지금껏 재건축 여건이 난관에 처할 때마다 주민과 소통하며 관계기관과 협력해 해결책을 모색해왔다”며, “지역의 열악한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 재건축, 재개발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이라고 말했다.
[뉴스출처 : 서울특별시 노원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