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3 (목)

  • 맑음동두천 11.1℃
  • 구름많음강릉 9.1℃
  • 맑음서울 11.2℃
  • 구름조금대전 13.1℃
  • 맑음대구 11.6℃
  • 맑음울산 8.0℃
  • 맑음광주 10.9℃
  • 맑음부산 9.6℃
  • 맑음고창 7.2℃
  • 흐림제주 9.4℃
  • 맑음강화 9.0℃
  • 구름많음보은 12.8℃
  • 구름많음금산 12.9℃
  • 맑음강진군 10.6℃
  • 맑음경주시 9.3℃
  • 맑음거제 9.9℃
기상청 제공

IT/과학

경상국립대학교, 배터리 성능과 안정성 두 마리 토끼 잡았다

경상국립대,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최재원 교수 연구팀

 

(포탈뉴스통신) 경상국립대학교(GNU)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최재원 교수 연구팀 (주저자: 박사과정 진영호 학생, 석사과정 유혜린 학생)과 인하대학교 신소재공학과 김상현 교수 연구팀이 공동연구를 통해 나트륨 이온 배터리(Sodium-Ion Battery, SIB)의 성능과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음극 소재를 개발했다. 이번 연구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와 구리주석황화물(Cu3SnS4)을 결합한 복합소재(Cu3SnS4@CNT)가 우수한 전기화학적 성능을 발휘함을 입증했다.

 

나트륨 이온 배터리는 리튬 이온 배터리를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기술로 주목받고 있으나, 나트륨 이온의 크기와 무게로 인해 충·방전 시 성능 저하와 안정성 문제가 발생해 왔다. 연구팀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간단한 콜로이드 합성법을 활용하여 나노 크기의 Cu3SnS4를 탄소나노튜브 표면에 균일하게 성장시키는 방식을 개발했다. 이 복합체는 200회의 충·방전 후에도 461.4 mAh/g (전류밀도: 0.5 A/g), 900회의 충·방전 후 405.8 mAh/g (전류밀도: 1.0 A/g)의 우수한 용량을 유지했으며, 고온 환경(50°C 및 70°C)에서도 뛰어난 성능(520.3 mAh/g 및 523.9 mAh/g)을 입증했다.

 

연구팀은 이번 성과를 통해 기존 금속 칼코게나이드(metal chalcogenide)의 초기 용량 감소 및 구조적 불안정을 효과적으로 개선했다. 또한 정전류 간헐적 적정법(GITT)을 활용하여 소재의 전기화학적 거동과 과전압을 정밀 분석했다. 이 소재는 고온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차세대 나트륨 이온 배터리의 실용화 가능성을 크게 확장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번 연구 성과는 화학공학 분야 세계적 학술지 '케미컬 엔지니어링 저널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IF 13.4, JCR 상위 3.1%)에 게재됐다. (논문명: Cubic Cu3SnS4@CNT for Stable and High-Temperature Sodium-Ion Batteries: Simple Colloidal Synthesis and Enhanced Cycle Performance)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신진연구, 기초연구실, GADIST 개척연구팀, G-LAMP 사업 및 4단계 두뇌한국21 (BK21) 지원사업을 통해 수행됐다.


[뉴스출처 : 경상국립대학교]


포토이슈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인천시, 지방재정 중앙투자심사 최종 통과 …“글로벌 톱텐 시티 도약” 위한 주요 정책 돛 달다! (포탈뉴스통신) 인천광역시는 지난 4월 2일 인천뮤지엄파크 조성사업 등 인천시가 추진하는 5개 주요 정책사업이 행정안전부의 지방재정 중앙투자심사를 최종 통과했다고 밝혔다. 지방재정 중앙투자심사는 광역자치단체에서 추진하는 신규 투자사업 중 총사업비 300억 원 이상이 되는 경우, 사업의 필요성과 타당성을 행정안전부가 심사하는 절차이다. 이번에 중앙투자심사를 통과한 주요 정책사업은 ▲인천 내항 1‧8부두 재개발사업 ▲인천뮤지엄파크 조성 ▲인천가족공원(3-3단계) 조성 ▲중앙근린공원 지하공영주차장 확충 ▲인천스타트업파크 펀드2호 조성 및 운용으로, 이들 사업의 본격적인 추진을 통해 도시 경쟁력 강화와 시민 생활편의가 크게 향상될 예정이다. 인천 내항 1‧8부두 재개발사업은 노후화된 인천 내항을 재개발해 원도심 활성화와 글로벌 해양거점 조성을 목표로 하는 사업이다. 2025년 착공해 2028년 말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해양산업 발전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인천뮤지엄파크 조성사업은 광역자치단체 중 유일하게 시립미술관이 없는 인천시에 전국 최초로 박물관, 미술관, 예술공원이


경제핫이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