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9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기상청 제공

연예/방송

이시우-강혜원, 오늘(19일) SBS 라디오 [권은비의 영스트리트] 출격! 임시완-이선빈, 22일(금) KBS [오날오밤] 출격! 소년시대 4인방 존재감 우뚝!

 

(포탈뉴스) 오는 12월 22일(금) 최종화 공개만을 앞두고 있는 올해 최고의 화제작 '소년시대'의 주역 임시완, 이선빈, 이시우, 강혜원을 향한 방송계의 러브콜이 쇄도하고 있다. [제공: 쿠팡플레이 l 감독: 이명우 l 극본: 김재환 l 출연: 임시완, 이선빈, 이시우, 강혜원]

 

쿠팡플레이 시리즈 '소년시대'에서 맹활약 중인 ‘부여즈’ 4인방 임시완, 이선빈, 이시우, 강혜원이 뜨거운 화제성을 입증하며 거침없는 홍보 레이스를 이어간다.

 

'소년시대'는 1989년 충청남도, 안 맞고 사는 게 일생일대의 목표인 온양 찌질이 병태가 하루아침에 부여 짱으로 둔갑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다이내믹 청춘 활극.

 

쿠팡플레이 시리즈 '소년시대'에서 전설의 싸움짱 아산 백호 ‘경태’, 모든 남학생들의 마음을 훔친 부여의 소피 마르소 ‘선화’로 반전 매력을 발산하고 있는 배우 이시우와 강혜원이 오늘(19일) 오후 8시 SBS 파워FM [권은비의 영스트리트]를 찾는다.

 

생방송 보는 라디오로 진행되는 이번 방송에서 이시우와 강혜원은 흥행 메이커 이명우 감독, 임시완, 이선빈 배우와 호흡을 맞춘 소감부터 캐릭터를 준비하며 겪은 고민, '소년시대' 의 비하인드 스토리 등 다양한 이야기를 직접 들려줄 예정이다.

 

특히 이번 방송에서는 1999년생 동갑내기로 ‘구구즈’라는 애칭을 갖고 있는 두 사람의 현실 친구 케미는 물론, 그룹 ‘아이즈원’으로 함께 활동했던 DJ 권은비와 강혜원의 찐친 케미를 엿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오는 12월 22일(금) 오후 8시 대망의 '소년시대' 최종화 공개에 이어 같은 날(22일) 밤 11시 20분 KBS 2TV [더 시즌즈-악뮤의 오날오밤](이하 [오날오밤])에 임시완과 이선빈이 출격한다.

 

아산 백호에서 아산 백구로 전락한 ‘병태’와 부여 흑거미 ‘지영’ 역을 맡아 앙숙 관계에서 사제지간으로 환상의 티키타카를 과시하고 있는 두 사람이 시청자들의 아쉬움을 달래기 위해 동반출연에 나선 것.

 

지난달 11월 21일(화) 악뮤 이수현이 스페셜 DJ 진행을 맡은 라디오 [정오의 희망곡 김신영입니다]에 이선빈이 '소년시대' 홍보를 위해 출연, 임시완과 깜짝 전화 연결에 나선 바 있다.

 

오는 22일 [오날오밤]을 통해 재회할 MC 이수현과 임시완, 이선빈의 유쾌한 만남에 기대가 모아진다.

 

[오날오밤]은 금요일 밤, 당신의 ‘모든 고민, 모든 걱정들을 싹 없애줄’ 음악과 이야기를 담은 토크쇼로 임시완과 이선빈은 재치 있는 입담과 함께 출중한 가창력을 선보이며 크리스마스 연휴를 앞둔 시청자들에게 선물 같은 시간을 선사할 예정이다.

 

4주 연속 쿠팡플레이 인기작 1위, 첫 주 대비 시청량 1,938% 상승하며 폭발적인 인기를 얻고 있는 쿠팡플레이 시리즈 '소년시대'의 마지막 9, 10화는 12월 22일(금) 저녁 8시 쿠팡플레이에서 만날 수 있다.

 

[뉴스출처 : RNX]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포토이슈

1 / 5

정치

더보기
정명근 대한민국특례시시장협의회장, 국정기획위원회에 ‘특례시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정 촉구 건의 (포탈뉴스통신) 대한민국특례시시장협의회(대표회장 정명근 화성특례시장)가 대통령직속 국정기획위원회(위원장 이한주) 정치행정분과(분과장 이해식) 요청으로 9일 14시 정책간담회에 참석했다. 간담회에는 정명근 화성특례시장(특례시시장협의회 대표회장), 이재준 수원특례시장, 이상일 용인특례시장이 참석하여 특례시의 법적지위와 실질적인 행․재정 특례 이양을 위해『특례시지원특별법(안)』의 신속한 제정을 촉구하는 건의문을 전달했다. 대한민국특례시시장협의회 명의로 전달된 건의문에는 ▲국회에서 발의한 ‘지방자치법’ 개정(안) 처리, ‘특례시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정으로 특례시 법적 지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 ▲광역시 수준의 행정 기능을 수행하는 특례시가 재정적으로 안정적 운영을 할 수 있도록 조정교부금 조성 재원과 징수교부금 교부율 확대·상향 ▲특례시에 대한 실질적이고 실효성 있는 사무를 적극적으로 발굴·이양 등의 내용이 담겼다. 협의회는 “특례시는 단순한 도시 규모의 확대를 넘어, 행정·재정의 실질적 자율권이 부여되어야 한다”며 “더 나아가 인구소멸지역과의 지역 간 상생협력지원을 5개 특례시와 함께 할 수 있도록 지원해달라”

사회

더보기


경제핫이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