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5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경상남도교육청, 교육부‘농어촌 참 좋은 작은학교’경남 3개교 선정

남해 고현초․도마초(공동수상), 함안 함성중, 함양 안의중 뽑혀

 

(포탈뉴스) 경상남도교육청은 교육부의 ‘농어촌 참 좋은 작은학교’ 공모전에서 남해 고현초․도마초, 함안 함성중, 함양 안의중 3개교가 최종 선정되었다고 23일 밝혔다.


교육부의 ‘농어촌 참 좋은 작은학교’ 공모전은 농어촌 작은학교의 장점을 살리고 특색있는 교육과정을 운영함으로써 교육공동체의 만족도가 높은 농어촌 학교 우수 운영사례를 발굴·확산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이번 공모전에는 전국 113개교가 참여하였으며, 1차 서류심사, 2차 동영상 자료 시연 심사를 통해 16개교가 최종 선정되었다. 경남교육청은 2020년 공모전 전국 최다 선정에 이어, 이번 공모전에서도 전국 113개교 중 3개교가 선정되었다. 특히, 중학교 부분에서 전국 최다 선정되는 쾌거를 이루었으며, 이는 경남교육청의 초­중­고 연계 작은학교 교육과정 지원 정책의 효과로 분석된다.


공동수상한 남해 고현초와 도마초는 인근 학교 간 연계를 통해 3주간 여름학교 운영 등 교육과정 특화, 빈집 확보, 지역주민의 이주민 지원, 학교살리기 캠페인 등을 전개하였다. 이를 통해 전국에서 38가구가 이주하여 유치원생과 초등학생 82명이 증가하였으며, 전국 최초 1면 2개 학교를 동시에 살리는 성과를 거두었다.


함성중학교는 ‘행복한 민주시민으로 성장하는 교육공동체’를 비전으로 설정하고 민주시민 프로젝트 수업, 지역 프로젝트수업, 메이커스 교육, 학생과 학부모의 행복수업 등을 교육과정 속에서 풀어가고 있다. 이러한 학교의 교육철학과 교육과정이 알려지면서 2017년 43명이었던 학생이 2021년 63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안의중학교는 토론을 통해 학생들이 가장 필요로 하고 가장 원하는 활동으로 구성된 ‘행복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hi-story(안녕 역사야), 참사시(참여하는 사회시간), 하루 5분 매일 필사, 학생마다 모두 다른 방학 숙제 등으로 이뤄져 있다. 이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홍보를 통해 김해, 창원, 진주 등의 지역에서 학생들이 찾아오고 있다.


박종훈 교육감은 “작은 학교의 가장 큰 장점인 학생 맞춤형 수업은 미래교육의 핵심이다.”며 “작은 학교 맞춤형 교육과정 예산 지원, 작은 학교 통학구역, 통학편의 지원 등을 확대하고, 지자체, LH와 협력하여 학교와 마을의 지속가능한 상생을 도모하는 등 다양한 지원 정책을 펼쳐 나가겠다.”고 밝혔다.


[뉴스출처 : 경상남도교육청]


포토이슈


정치

더보기
김민석 국무총리 "한미 관세협상 의미있는 결과…농축산업 중요한 이익 지켜" (포탈뉴스통신) 김민석 국무총리는 5일 "지난주에 한미 관세협상이 타결됐다"면서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의미 있는 결과를 만들어냈고, 우리 농축산업의 중요한 이익도 지켜냈다"고 밝혔다. 이날 김 총리는 제34회 국무회의 모두발언에서 "관세 협상이 끝나고 대통령께서 말씀하신 국력을 키워야겠다는 말씀이 와닿았다"며 이같이 말했다. 특히 내란을 극복하고 세계 선도국가로 거듭나 세계를 주도하기 위해 당당하게 국민을 지키는 나라로 국력을 재차 강조하면서 국무위원들에게 사명감을 가지고 임해 줄 것을 요청했다. 아울러 대통령께서 리더십의 큰 방향으로 우리 국가가 가야 할 국가적 의제를 설정하기 시작했다면서 후진적인 산재를 극복하는 나라로 가야 한다는 방향을 제기한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민주주의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민주주의가 안전을 지키고 생산성도 지키고 효율에도 답이 되고 경제에도 답이 된다"고 거듭 강조했다. 김 총리는 "국민의 지혜를 경청하고, 또 늘 상의드리는 가장 출발점이 바로 국무회의이기 때문에 어떻게 보면 'K-국무회의'를 만들어야 되는 숙제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K-민주주의가 잘 되느냐, 안 되느냐 하는 시금석 내지는 판가름은 국무회의가

사회

더보기


경제핫이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