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서울도서관-공공도서관협의회, 16일 디지털 전환시대 공공도서관 포럼

11월16일 위드 코로나시대, 도서관 서비스 전환을 위한 온라인 포럼 개최

 

(포탈뉴스) 서울도서관이 (사)공공도서관협의회와 함께 오는 11월16일 “디지털 전환시대의 공공도서관” 주제로 온라인 포럼을 개최한다.


서울도서관은 올해 3월 (사)공공도서관협의회 회장기관으로 선정되었다. (사)공공도서관협의회는 1968년 창립되어 전국 17개 지부 805개 공공도서관을 회원기관으로 두고 있다.


그간 국가도서관에서 회장기관을 수행하고 있다 2021년 처음으로 서울의 대표도서관인 서울도서관이 회장기관을 맡게 되었다. (사)공공도서관협의회는 공공도서관 서비스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협력 워크숍, 해외 선진도서관 연수, 연구논문 발간 등 현장 연구지원과 같이 도서관인의 역량과 전문성 강화를 위한 사업을 추진한다.


위드 코로나에 접어들면서 디지털 전환시대에 도서관 역할 변화와 서비스 제공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메타버스 플랫폼과 디지털 기술 활용한 도서관 프로그램 주제로 강연을 한다.


포럼 주제 강연으로 이지연(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공공도서관 전시 문화프로그램’을, 김규환(인천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가 ‘메타버스 플랫폼 선정기준 및 활용방법’에 대해 이야기 한다.


강연에 이어 종합토론으로 서울시교육청 영등포 평생학습관 노귀례 사서와 강북문화정보도서관 홍예은 사서 등이 참여해 디지털 전환시대 공공도서관 역할 변화에 대해 논한다.


포럼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비대면으로 진행하며 국립중앙도서관 후원으로 유튜브 채널을 통해 생중계되어 별도 신청없이 참여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과 자료는 공공도서관협의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정수 서울도서관장 및 공공도서관협의회장은 “우리는 지금 그 어느 때 보다 변화의 폭이 큰 시기에 서 있다. 도서관은 변화를 담는 동시에 변화를 이끌 수 있는 공공 플랫폼이 되어야 하며 도서관인들은 기술변화 등에 필요한 지식과 사회와의 소통 역량을 시민들의 삶을 보다 풍요롭게 하기 위해 무엇보다 중요하고 갖추어야 할 때다. 서울도서관은 대표도서관으로써 서울의 공공도서관들을, 공공도서관협의회는 전국 도서관인들의 역량향상을 위해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뉴스출처 : 서울특별시]


포토이슈


정치

더보기
이재명 대통령 "선출 권력에 의해 국민 주권 발현…국회 존중하길" (포탈뉴스통신) 이재명 대통령은 1일 "국회는 국민으로부터 직접 권력을 위임받은 기관으로, 우리 국무위원들이 국회에 가면 그 직접 선출된 권력에 대해 존중감을 가져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무회의 모두발언에서 "국회와의 관계에서 지금 약간 오해가 좀 있는 것 같다"며 이 같이 밝혔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은 주권 국가이고 이 나라의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오는 것"이라며 "직접 선출된 권력에 의해 국민주권이 발현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대한민국의 선출 권력은 대통령, 국회의원, 자치단체장, 기초광역의원 등으로 구성된다"면서 "아무리 우리가 외형적으로 높은 자리, 높은 권한을 가지고 있다 할지라도 임명된 권력은 선출 권력을 존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회도 헌법의 국가기관 순위가 써져 있다"며 "개인적으로 좋든 나쁘든 그런 것은 중요하지 않다. 국가의 기본적 질서에 관한 문제니까 최대한 국회를 존중해 주시기를 당부드린다"고 거듭 촉구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혹서기와 장마에 대한 철저한 대비를 주문했다. 이 대통령 "지금 장마가 계속 중이고 앞으로 강우가 어떻게 될지 모르겠는데, 지금까지는 비 피해가 크게

사회

더보기


경제핫이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