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7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회

동해시 생활인프라 개선을 위한 하수관로 정비사업 추진

쾌적한 생활환경 조성 및 방류수역 수질개선을 위한 오수 ․ 우수 분류화 사업 추진

 

(포탈뉴스통신) 동해시 상하수도사업소에서는 시민들의 생활환경 개선을 위해 오수․우수 분류화 사업과 노후 하수관로 정비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먼저 오․우수 분류화 사업은 송정·부곡·북평분구와 묵호분구(1단계), 묵호분구(2단계) 등 총 3개 사업으로, 송정·부곡·북평분구는 총사업비 495억원이며, 이 중 국비 323억원(65%), 도비 69억원(14%)을 지원받아 2020년부터 공사를 시행하고 있다.

 

현재 송정(북삼동 일원)·북평분구는 공사가 완료되어 악취 개선 등 주민들의 생활 편의가 크게 향상됐으며, 부곡분구는 2026년까지 공사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또한, 묵호분구(1단계)는 동호동, 발한동 일원에서 추진되며, 총사업비 407억원 규모로 국비 239억원(59%), 도비 80억원(20%), 시비 88억원(21%)이 투입된다.

 

현재 설계를 완료하고 조달청에 계약을 요청한 상태이며, 오는 10월 중 시공업체가 선정될 예정이다.

 

아울러, 묵호동과 어달동을 포함하는 묵호분구(2단계)는 지난해 12월 실시설계에 착수하여 현재 진행 중이며, 2026년 실시설계를 완료하고 2027년부터 본격적으로 착공할 계획이다.

 

특히 이번 오·우수 분류화 사업을 통해 기존에 개별 가정에서 사용하던 오수 정화조가 철거되고, 오수가 전용 관로로 직접 연결됨으로써 위생환경 및 방류수역 수질 개선에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근래 사회적 이슈로 떠오른 지반침하(일명 싱크홀) 사고를 예방하고 주민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노후 하수관로 정비사업(묵호1단계)도 병행 추진하고 있다.

 

현재 실시설계 마무리 단계에 있으며, 원주지방환경청과의 총사업비 변경 등 재원 협의를 거쳐 올해 사업 착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동해시는 이번 일련의 사업들을 통해 오·우수 분류화로 쾌적한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노후 하수관로 정비를 통해 지반침하 사고를 예방하여 안전한 주거환경 조성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상하수도사업소 소장은 오·우수 분류화 사업과 노후 하수관로 정비는 단순한 하수도 정비를 넘어 시민의 삶의 질과 안전을 지키는 중요한 기반시설 사업이라며, 차질 없이 추진하여 깨끗하고 안전한 도시생활 인프라를 완성하겠다고 말했다.


[뉴스출처 : 강원도동해시]


포토이슈


정치

더보기
이재명 대통령, 청년농업인 간담회 개최 (포탈뉴스통신) 이재명 대통령은 오늘 오후 세종시 소재의 한 농원에서 ‘청년들의 기회와 희망, K-농업에서 펼치다!’를 주제로 간담회를 개최하고 청년농업인들의 목소리를 경청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간담회에 앞서 농원 대표의 안내를 받으며 복숭아 농장을 둘러봤고, 복숭아 수확 후 진행되고 있는 가지치기 작업을 함께했다. 농원 대표는 가지치기는 내년의 풍성한 결실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라고 설명했고, 이재명 대통령은 미리 내년 수확을 준비하듯이 우리 농업·농촌의 밝은 미래를 위해 청년농업인들에 대한 투자와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화답했다. 간담회에는 채소, 과일, 화훼 등 다양한 작물을 재배하고 있는 청년농업인 8명이 참석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고추와 애플수박 등의 가격이 어떻게 되는지 물었고, 청년농업인이 재배한 청귤로 만든 음료를 나눠 마시며 이야기를 이어갔다. 화훼업을 하는 청년농업인은 농촌이 다시 생명력 넘치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며 우리 농업을 이끌어 나가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양봉업을 하는 청년농업인은 “지금도 벌을 보면 너무 예쁘다”며 농업에 애정을 드러내면서도 젊은이들이 농촌에 뿌리내리기에는 한계와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라고 호소했다. 청년농

사회

더보기


경제핫이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