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1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생활상식

농촌진흥청, 2026년 농촌진흥청 예산안

첨단 농촌시대 1조 1,325억 원 투자

 

(포탈뉴스통신) ① AI 기반 스마트농업·그린바이오 확산 1,595억 원

· AI기반 작물 모니터링 및 진단 플랫폼 개발- 78억 원

· 노지스마트농업 활용 모델 개발- 50억 원

· 지능형 농업로봇 핵심 기반기술 개발- 30억 원

· 대체 단백 특화시장 맞춤형 원료화- 78억 원

· 특용작물 천연 활성 바이오소재 기술 개발- 75억 원

 

② 안정적인 식량주권 확보와 자급률 강화- 1,125억 원

· 밀 자급률도약 생산소비 연계 핵심 기술 개발- 59억 원

· 장립종벼기반 쌀산업 혁신 프로젝트- 40억 원

· 쌀 적정생산 기술 확산 혁신 벨트- 9억 원

· 전략작물 종자 보급- 15억 원

· 작물시험연구- 706억 원

 

③ 농축산물 생산 및 수급안정 지원- 1,516억 원

· 기후변화 대응 생명공학작물 활용기술 개발- 42억 원

· 가축 생산비 절감 정밀사양 최적 기술 개발- 30억 원

· 원예작물 수급 안정화를 위한 이상기상 대응기술 고도화- 80억 원

· 농업기상관측기 고도화 사업- 17억 원

· 축산자원 활용 탄소중립 바이오 기술 개발- 50억 원

 

④ 병해충 방제·밭농업기계화 등 현안해결- 987억 원

· 중점 관리 병해충 선제 대응 및 피해 경감 기술 실용화- 105억 원

· 국경 기동성 해충 국제 발생 예측모델 개발- 20억 원

· 현장 맞춤형 밭농업기계 고도화- 124억 원

· 중소규모형 밭농업기계화 시범모델 보급- 18억 원

 

⑤ 지역농업 활성화 및 농촌 활력화- 1,948억 원

· 농작업 안전관리 기술 및 편이 장비 개발- 30억 원

· 고령농업인 온열질환 현장밀착 예방사업- 10억 원

· 농작업 안전재해예방 지원 체계 구축- 23억 원

· 농업농촌 국민체감 AX 전환 기술 개발- 21억 원

· AI 기반 생체, 정서 반응형 농업활동 서비스 플랫폼 개발- 30억 원

 

⑥ K-푸드 수출지원 및 K-농업기술 확산- 517억 원

· 해외농업기술 개발 지원(부처 간 협업)- 345억 원

· 국제 농업기술협력- 52억 원

· 글로벌 표준화 협력- 14억 원

· K-농업기술 활용 해외 진출 모델확산- 8억 원


[뉴스출처 : 농촌진흥청]


포토이슈


정치

더보기
김민석 총리, , 「미래대화 1‧2‧3#문화 (제3차 K-토론나라)」 개최 (포탈뉴스통신) 김민석 국무총리는 9월 10일 오후 한국예술종합학교(한예종) 석관동 캠퍼스에서 「미래대화 1·2·3#문화 (제3차 K-토론나라)」로 20·30대 청년들을 만나서 다양한 목소리를 경청했다. 「미래대화 1·2·3'은 10대·20대·30대 청년들과 함께 토론하여 대한민국의 미래를 설계해 나가겠다는 의미로, 교육, 주택, 일자리 등 청년들이 직면한 다양한 정책현안에 대해 미래세대의 주역인 청년들과 자유롭게 소통하는 사회적 대화 플랫폼이다. 지난 7월 24일 서울 성수동에서 ‘청년들의 참여확대방안’ 등의 주제로 처음으로 개최했으며, 이번에는 청년 문화예술인들과 함께 ‘문화’를 주제로 개최하게 됐다. 이날 토론회에 앞서 김민석 총리는 예술 인재 육성의 산실인 한예종을 찾아 실제 수업 및 실습 현장을 둘러보고, 오늘의 K-컬쳐가 있기까지 한예종의 역할이 컸다며 학생들과 교직원들을 격려했다. 이어진 토론회에서는 음악, 문학, 무용, 영화 등 다양한 분야의 청년 9명이 참석하여 청년 문화예술인으로서의 삶과 고민을 공유하고 지속가능한 청년문화예술 생태계 조성 등에 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김민석 총리는 “최근 국립중앙박물관을 찾는 사람들이 크게 증가하는

사회

더보기


경제핫이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