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3 (월)

  • 흐림동두천 23.5℃
  • 흐림강릉 30.0℃
  • 서울 24.7℃
  • 대전 24.5℃
  • 대구 28.9℃
  • 흐림울산 27.3℃
  • 광주 26.0℃
  • 부산 23.5℃
  • 흐림고창 25.6℃
  • 흐림제주 29.7℃
  • 흐림강화 22.9℃
  • 흐림보은 24.4℃
  • 흐림금산 25.4℃
  • 흐림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8.5℃
  • 흐림거제 24.1℃
기상청 제공

사회

제주삼다수, 생활 밀착형 온라인 광고 4편 공개… 운동부터 육아까지 일상 속 “믿으니까 우린 삼다수 좋아마심”

분야별 라이프스타일 인플루언서들과 함께한 신규 온라인 광고 4편 온에어

 

(포탈뉴스통신) 제주삼다수가 MZ세대의 공감대를 겨냥한 신규 온라인 광고 4편을 공개했다.

 

종합편을 비롯해 운동, 요리, 육아 등 다양한 일상 속 순간을 테마로 한 이번 광고는 “믿으니까, 삼다수 좋아마심”이라는 메시지 아래, 물 선택에 대한 고민과 기준을 각자의 시선으로 풀어내며 언제 어디서나 믿고 마실 수 있는 물, 제주삼다수의 가치를 자연스럽게 전달한다.

 

운동편에서는 육상 국가대표 김민지 선수가 운동 후에도 신뢰할 수 있는 물을 고르는 모습을 보여주며 “마시는 것까지가 운동”이라는 메시지를 전한다.

 

요리편에서는 흑백요리사 출연으로 화제를 모은 급식대가 이미영 셰프가 “밥짓기, 은근히 어렵죠?”라는 말과 함께 “밥 지을 때 쌀보다 물이 더 많이 들어간다”는 정보를 전하며, 물맛이 요리의 기본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가족 크리에이터 태요미네가 출연한 육아편은 활동량이 많아지는 시기, “아이 물만큼은 좋은 것으로 줘야겠다”는 엄마의 고민을 담아내며 제주삼다수가 언제나 믿고 안심할 수 있는 물이라는 점을 부각한다.

 

신규 온라인 광고 4종은 제주삼다수 SNS에서 확인 가능하다.

 

제주삼다수는 이번 광고 캠페인을 오프라인 소비자 체험 이벤트로도 확장한다.

 

오는 7월에는 김민지 선수와 함께하는 러닝 클래스와 급식대가가 참여하는 쿠킹 클래스가 각각 진행될 예정이다.

 

일상 속 브랜드 경험을 확장하는 참여형 프로그램을 통해 소비자와의 접점을 더욱 넓혀갈 계획이다.

 

제주개발공사 백경훈 사장은 “제주삼다수는 소비자 일상 속 다양한 순간에 자연스럽게 녹아드는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고자 한다”며 “신뢰할 수 있는 물이라는 브랜드 정체성을 바탕으로, 앞으로도 세대와 라이프스타일을 아우르는 커뮤니케이션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제주삼다수는 2025년 1분기 기준 시장점유율 40.4%를 기록하며 국내 생수 업계 1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출시 이후 27년간 변함없는 맛과 품질로 소비자에게 가장 신뢰받는 프리미엄 생수 브랜드로 자리잡고 있다.


[뉴스출처 : 제주개발공사]


포토이슈


정치

더보기
‘2025 경기 살리기 통큰세일’ 오산 오색시장에서 개막. 김동연 “통큰세일 계기로 상권 살아나고 도민 장바구니 물가 걱정 덜길” (포탈뉴스통신) 경기지역 400여 개 전통시장과 골목상권이 참여하는 소비촉진행사 ‘2025 경기 살리기 통큰세일’이 21일 오산 오색시장에서 개막식을 열고 9일간 대장정에 돌입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개회사를 통해 “경기도가 통 크게 준비했다. 작년 40억 예산을 올해 100억으로 2.5배 늘렸다. 또 (참여)시장도 2배 이상 늘려서 경기도의 전통시장과 골목상권 다 합쳐서 400곳 넘는 곳 전부 혜택 볼 수 있도록 했다”고 말했다. 이어 “통큰세일을 계기로 지금 가장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 자영업자 또 골목상권 계시는 많은 분들 힘내시기 바란다. 시장이 활기차게 돌아가고 장사가 잘 돼서 상권이 다시 살아나기를 바란다”며 “도민 여러분들께서는 장바구니 물가 걱정 좀 덜었으면 한다. 지금 최대 20%까지 할인(환급) 행사까지 하니까 마음껏 이용해 주시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김 지사는 개막식 후 시장을 돌며 현장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였다. 배우자와 함께 온누리상품권과 현금으로 과일과 채소 등 15만 원가량 장을 본 김 지사는 통큰세일 혜택으로 온누리상품권 2만 원을 환급받았고 이 상품권으로 인근 가게에서

사회

더보기


경제핫이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