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5 (수)

  • 흐림동두천 23.5℃
  • 흐림강릉 30.0℃
  • 서울 24.7℃
  • 대전 24.5℃
  • 대구 28.9℃
  • 흐림울산 27.3℃
  • 광주 26.0℃
  • 부산 23.5℃
  • 흐림고창 25.6℃
  • 흐림제주 29.7℃
  • 흐림강화 22.9℃
  • 흐림보은 24.4℃
  • 흐림금산 25.4℃
  • 흐림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8.5℃
  • 흐림거제 24.1℃
기상청 제공

생활상식

통일부, 남북 대화 현장의 생생한 기록! 제6차 남북회담 문서 공개

 

(포탈뉴스통신) 남북회담 문서 이제는 더 가까이, 더 편리하게 볼 수 있습니다.

 

남북회담 문서란?

남북간 수발신한 문서, 합의서 등 남북회담의 성립과 진행 과정에서 생산·접수된 문서로, 30년이 경과한 문서에 대한 심의를 거쳐 매년 일반에게 공개하고 있습니다.

 

제6차 남북회담 문서 공개

· '22년 제1·2차 공개

(제2권~제6권, 4,680쪽)

· '23년 제3·4차 공개

(제7권~제10권 일부, 2,643쪽)

· '24년 제5차 공개

(제10권~제11권, 1,693쪽)

· '25년 제6차 공개

(제12권~제13권 일부, 회의록편 제2권, 2,266쪽)

 

통일부는 1984년 9월부터 1990년 7월까지의 정치·경제·체육 분야 남북회담 문서를 국민에게 공개했습니다.

(제6차 남북회담 문서 공개 2025년 2월 13일)

 

· 남북경제회담

(5차례, '84.11월~'85.11월)

· 남북국회회담 예비접촉

(2차례, '85.7월~9월)

· IOC 중재 '로잔느' 남북체육회담

(3차례, '85.10월~'86.6월)

· 남북고위급회담 예비회담

(8차례, '89.2월~'90.7월)

 

제6차 남북회담 문서는 분단 이후 최초로 개최된 남북경제회담 및 국회회담 예비접촉 등 1980년대 중·후반 남북 간 대화·접촉의 실상, 1990년대 남북고위급회담 개최를 위한 남북 간 예비회담의 기록 등을 생생히 담고 있습니다.

 

남북회담 문서의 국민 접근성 제고를 위한 열람 장소 확대

· 서울 강북구(국립통일교육원)

· 서울 종로구(남북관계관리단)

· 서울 여의도(국회도서관)

· 서울 서초구(북한자료센터)

· 전라남도 목포(호남권 통일플러스센터)

· 부산 강서구(국회부산도서관)

기존 서울지역 4곳으로 한정되어 있던 열람 장소를 호남권과 영남권까지 확대했습니다.

* 이용일 전일 전화 예약(필수) → 방문 → 문서 검색 → 열람신청서 작성 → 열람

 

남북관계관리단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열람 신청 후 회담 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간편인증 → 정보입력 → 자료 신청 → 이메일로 자료 수취

 

통일부는 국민의 알 권리를 충족하고 대북정책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가겠습니다.


[뉴스출처 : 통일부]


포토이슈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경제핫이슈

더보기
공실 없는 창고 비즈니스, 로봇 자동화 시스템 기술로 공유경제 혁신을 이끄는 선두주자 위텍시스템이 답을 찾다! (포탈뉴스통신) 30년 기술력으로 만드는 '공간 자산', 가변형 공유창고 세대창고, 무인창고, 가변형 공유창고까지. 도심 속 유휴공간을 고수익 자산으로 바꾸는 혁신이 시작됐다. 그 중심엔 로봇 자동화의 선두주자 위텍시스템이 있다. 로봇 자동 용접 기술을 바탕으로 건축자재 시장에 혁신을 불어넣은 위텍시스템은 최근 공유경제 트렌드에 발맞춰 ‘가변형 공유창고’ 시장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루고 있다. 위텍시스템은 국내 유수의 아파트 단지와 상업시설뿐만 아니라, 박스하우스, 룸플러스, 파크스 등 무인창고 전문 브랜드를 통해 다수의 납품 실적을 확보하며 입지를 다졌다. 특히 수도권과 대도시권 중심의 임대사업자와 협력하여 100여 개 현장에 납품, 실사용자 중심의 설계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빠르게 시장을 선도 중이다. 사람과 로봇의 협업으로 완성되는 자동화 설비 위텍시스템의 경쟁력은 단순한 제조 기술을 넘는다. 독일 쿠카로봇 동북아 지사장 출신인 김하학 대표의 리더십 아래, 설계부터 생산, 납품, A/S까지 전 과정을 로봇 기반 자동화 시스템으로 구현했다. 이를 통해 기존 수작업 대비 생산 속도는 2배, 품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