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7 (목)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생활상식

식품의약품안전처, 매실청 안전하게 담그려면?

 

(포탈뉴스) “안전한 매실청 담그려면 씨앗 제거가 가장 중요해요!”

 

씨앗을 제거하면 청매실, 황매실의 시안화합물을 95%까지 줄일 수 있답니다! 매실청 안전하게 담그는 꿀팁, 확인하고 가세요!

 

 매실 꼭지와 씨를 꼭 제거해 주세요!

 

'재료 준비'

1. 좋은 매실을 준비해 주세요.

덜 익은 청매실 보다 노랗게 익은 황매실이 좋습니다.

* 황매실을 사용할 경우 청매실에 비해 시안화합물이 70% 줄어듭니다.

* 만약, 청매실을 구입했다면 서늘한 곳에 7일 저장하여 사용합니다.

 

2. 잘 세척하여 물기를 제거해 주세요.

세척은 3회 이상 흐르는 물에 채반에 올려 물기를 완전히 말려줍니다.

* 물기가 있으면 곰팡이가 생길 수 있습니다.

 

3. 매실 꼭지는 꼭 제거해 주세요.

바늘이나 이쑤시개로 꼭지를 제거합니다.

* 꼭지가 남아 있을 경우 쓴맛이 날 수 있습니다.

 

4. 씨를 제거해 주세요.

시중에 판매되는 씨제거기 등을 이용하여 씨를 제거합니다.

* 씨앗을 제거하면 청매실이나 황매실의 시안화합물이 대부분(95%) 줄어듭니다.

 

5.보관용기를 소독해 주세요.

수증기나 끓는물로 소독하고 물기를 제거해 줍니다.

* 소독하지 않으면 잡균이 생길 수 있습니다.

 

매실청 담그기

 

① 매실과 설탕을 용기에 담아주세요.

1:1의 비율로 매실이 노출되지 않도록 설탕을 덮어줍니다.

* 설탕 대신 올리고당을 사용하면 시안화합물이 14% 줄어듭니다.

 

② 실온에서 숙성시켜주세요.

설탕이 녹으면 중간 중간 매실과 설탕이 섞이도록 저어줍니다.

* 일반적으로 3~4개월 정도 숙성합니다.

 

③ 숙성 후 건더기를 걸러주세요.

채반 등을 이용하여 건더기를 제거합니다.

* 건더기를 제거 후 숙성시키면 시안화합물이 22% 줄어듭니다.

 

④ 소독된 보관용기에 담아 후숙성시켜 주세요.

건더기가 제거된 매실청을 보관용기에 담아 6개월 이상 숙성시킵니다.

* 6개월 이상 숙성시키면 시안화합물이 13% 줄어듭니다.

 

매실청 담그는 팁과 핵심재료인 매실 안전한 손질법 확인하시고 안전한 매실청 담그세요! 


[뉴스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포토이슈


정치

더보기
김동연 경기도지사, 김민석 국무총리 만나 미군반환공여지 등 논의 (포탈뉴스통신)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7일 김민석 국무총리를 예방해 이재명 국민주권정부와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또 구윤철 경제부총리도 만나 경기도 주요 현안에 대한 국비 지원을 요청했다. 김동연 지사는 국무총리, 경제부총리와의 잇단 면담에서 “경기도가 이재명정부 성공을 위한 제1의 국정파트너 역할을 하려한다”고 설명하면서 각종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김동연 지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김민석 국무총리와의 면담에서 ‘주한미군 반환공여구역’ 개발 문제와 ‘평화’, ‘기후’ 등 세가지 어젠다를 주제로 경기도와 정부 간 협업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김 지사는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사항이자 경기북부대개조 프로젝트와 관련이 있는 주한미군 반환공여구역 개발에 주도적으로 나설 것임을 밝혔다. 김 지사는 이재명 대통령의 ‘특별한 희생에 대한 특별한 보상’ 방침을 언급하면서 “경기북부는 지난 70년간 머리에 북한을 이고 살았는데, 이제 대통령 말씀대로 반환공여지 개발에 성공할 경우 완전히 판을 바꿀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 총리도 경기북부의 잠재력을 평가하면서 깊은 공감의 뜻을 나타냈다. 또 김 지사는 오는 8.15 광복80주년행사에서부터 9.19 평양공동선언 7주년

사회

더보기


경제핫이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