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3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서산교육지원청, 학교지원센터 2021 한 해 지원 사업 성과 발표

 

(포탈뉴스) 서산교육지원청 학교지원센터가 2021년 지원 사업 성과를 발표했다.


올해 본격적인 출범 3년차인 서산 학교지원센터는 11개의 특색사업을 발굴하였으며, 서산관내 학교의 실무를 담당하는 교(원)감 및 교무부장 전체 대상으로 실시한 만족도 조사 결과, 이용 만족도가 5점 만점에 매우 만족인 4.92점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업지원과 업무지원 부분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이중에서도 학교지원센터의 공통업무인 초등단기수업지원과 도서실 정리 지원 사업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학교지원센터는 2021년 지원 업무의 양적확대 및 질 관리에 주력한 결과, 기존 16개의 공통사업에서 확장하여 신규교사 역량강화 맞춤형 지원, 운동장 관리지원, 학교홍보지원 등 11개의 특색사업을 발굴하는 성과가 있었다.


주요 특색사업은 학교 현장 요구에 따른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여 신규교사, 보건업무, 호봉획정 지원 등 11개 부문, 101명의 다양한 교육 지원단을 구성하였다.


특히 신규(저경력 포함) 교사 역량 강화 컨설팅 지원을 위해 서산관내 34명의 수석교사와 경력교사를 신규교사 역량강화 지원단으로 구성하여, 1:1 맞춤형 컨설팅을 지원해 눈길을 끌었다. 이로써 학생 중심 수업, 학급운영 등 18건의 다양한 맞춤형 컨설팅을 지원하였다. 서산 학교지원센터는 바로 지원 서비스를 위해 카카오톡 ‘서산교육지원청’ 채널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컨설팅 지원 신청 편의성을 높였다.


또한 학교의 공통된 업무 중, 학교의 예산 절감과 지속적이고 효율적인 지원이 가능하도록 학교일정 조율 및 인력 매칭을 통한 업무 지원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모래 운동장 정리 지원 사업의 안착 및 운동장 배수로 정비 지원사업 실시를 통해 49건의 운동장 정리 지원과 6교의 배수로 정비 지원을 완료했다.


이어 학교 홍보를 위한 맞춤형 기사 작성 지원사업으로 관내 18개교를 대상으로 63건의 홍보기사 작성을 지원했다. 더불어 무인항공(드론)을 활용하여 관내 초중고 11개 학교를 대상으로 사진 및 동영상 등 홍보 자료 제작을 지원하여, 학교 홍보 활성화에 기여하였다.


학교지원센터 사업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공문 발송 없이 학교지원 플랫폼인 학교지원센터 통합누리집을 통해 간편한 신청을 할 수 있다. 2021년 서산 학교지원센터는 통합누리집을 통해 550건 학교지원 및 요청 접수 처리를 하였다.


장우현 교육장은 ‘학교 교육력 제고와 학교업무총량 감축을 위해 2021년 학교지원센터가 다양한 노력을 했다.’고 말하며 ‘2022년도에도 늘 학교 곁에서 학교 현장의 요구에 발 맞추어 다가가는 학교지원센터가 될 것’이라며 뜻을 밝혔다.


[뉴스출처 : 충청남도 서산교육지원청]


포토이슈


정치

더보기
이재명 대통령 "균형발전은 국가 생존전략…지방에 더 많이 지원" (포탈뉴스통신) 이재명 대통령은 1일 "균형 발전은 국가의 생존을 위한 생존 전략"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전국 시도지사 간담회 모두발언에서 "자치와 분권은 대한민국의 중요한 국정과제"라며 이 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은 그동안 불균형 성장을 국가의 성장전략으로 채택해온 것이 사실"이라며 "그러다 보니 모든 자원이 특정 지역과 특정 영역에 집중됐고, 그 부작용으로 수도권 일극 체제가 생겨났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한때는 이 방식이 매우 효율적인 발전 전략이었지만 지금은 성장과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가 됐다"며 "이제 균형발전은 지역이나 지방에 대한 배려나 시혜가 아닌 국가의 생존을 위한 전략이라고 새 정부는 생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이번 소비쿠폰 지급에서도 수도권보다 지방에 더 인센티브를 지급했다"며 "똑같이가 아니라 더 많은 지원을 해야 비로소 균형을 조금이라도 유지할 수 있다는 생각을 이번 정책으로 나름 시현해 봤다"고 설명했다. 이어 "앞으로 국가 정책 결정이나 예산 재정 배분에서도 이런 원칙을 최대한 강화해 나가려고 한다"고 밝혔다. 자치와 관련해 이 대통령은 "'지방자치는 민주주의를 배우는

사회

더보기


경제핫이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