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제주국제교육원, 제14회 제주외국어축전 개최

“제주외국어축전 ON, 존중과 공감을 담다!”

 

(포탈뉴스) 제주국제교육원은 ‘제주외국어축전 ON, 존중과 공감을 담다!’라는 주제로 12월 3일부터 12월 8일에 걸쳐 온라인・비대면 중심으로 제14회 제주외국어축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축전은 경쟁을 심화시키는 경연대회 중심이 아닌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각급 학교의 외국어 교육 활동을 공유하는 학교 간 공유의 장으로 마련된다. 또한 코로나19 상황을 반영하여 초등학생 대상 체험활동을 제외한 대부분의 활동을 온라인・비대면 중심으로 운영한다.


축전은 「온라인 라이브강연」, 「동아리마당」, 「발표마당」, 「체험교실」, 「UCC 공유마당」의 다섯 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었고, 축전 홈페이지를 통하여 축전 운영기간 동안 장소에 구애됨 없이 축전에 참여할 수 있다.


특히, 12월 3일 오전 10시부터 진행되는「온라인 라이브강연」은 유튜브 채널을 활용하여 실시간 라이브 명사 특강으로 운영된다. 초등학생・학부모・교직원 대상으로「영어실력 쑥쑥! 슬기로운 영어 학습법」이라는 주제로 ‘니콜쌤’(EBS 영어 관련 방송 다수 진행, 「파닉스」, 「카툰영어」저자)의 강연이 이루어진다. 중고등 학생・학부모・교직원 대상으로는 EBS 라디오‘입이 트이는 영어’진행자인 이현석 선생님이 「글로벌 인재가 되기 위한 슬기로운 영어 학습법」에 대해 강연을 한다.


「동아리마당」, 「발표마당」, 「UCC 공유마당」에는 학생들이 주제별로 제작한 산출물을 탑재하여 학교에서는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 등을 활용하여 공유할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해 학생들에게 외국어 역량 증진뿐만 아니라 서로의 다양성을 존중하고 외국어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증진하는 계기를 제공한다.


「체험교실」은 초등학교 신청학교를 대상으로 제주외국어학습센터 및 지역외국문화학습관에서 동시 진행되며, 크리스마스 활동 등 18개 주제별로 원어민 교사와의 체험중심 활동으로 운영된다.


제주국제교육원장은 “학생들이 그동안 갈고 닦은 외국어 실력을 발휘할 수 있는 학생 중심 축제의 장을 통해 서로를 배려하는 존중과 공감의 따뜻한 마음이 전해지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라고 전했다.


[뉴스출처 : 제주국제교육원]


포토이슈


정치

더보기
이재명 대통령 "선출 권력에 의해 국민 주권 발현…국회 존중하길" (포탈뉴스통신) 이재명 대통령은 1일 "국회는 국민으로부터 직접 권력을 위임받은 기관으로, 우리 국무위원들이 국회에 가면 그 직접 선출된 권력에 대해 존중감을 가져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무회의 모두발언에서 "국회와의 관계에서 지금 약간 오해가 좀 있는 것 같다"며 이 같이 밝혔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은 주권 국가이고 이 나라의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오는 것"이라며 "직접 선출된 권력에 의해 국민주권이 발현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대한민국의 선출 권력은 대통령, 국회의원, 자치단체장, 기초광역의원 등으로 구성된다"면서 "아무리 우리가 외형적으로 높은 자리, 높은 권한을 가지고 있다 할지라도 임명된 권력은 선출 권력을 존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회도 헌법의 국가기관 순위가 써져 있다"며 "개인적으로 좋든 나쁘든 그런 것은 중요하지 않다. 국가의 기본적 질서에 관한 문제니까 최대한 국회를 존중해 주시기를 당부드린다"고 거듭 촉구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혹서기와 장마에 대한 철저한 대비를 주문했다. 이 대통령 "지금 장마가 계속 중이고 앞으로 강우가 어떻게 될지 모르겠는데, 지금까지는 비 피해가 크게

사회

더보기


경제핫이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