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탈뉴스통신) 경상북도는 도내 주요 연안 44개 지점을 대상으로 벌인 ‘2025년 연안침식 실태조사’ 결과를 27일 공개했다.
올해 조사에서는 침식 우려 지역이 소폭 감소하며 전반적으로 개선 흐름을 보였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침식이 심화해 지속적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침식 우려 지역(C·D등급)은 지난해 24개소(54.5%)에서 올해 21개소(47.7%)로 줄었고, A등급 지역은 1개소에서 3개소로 증가했으며, D등급(심각) 지역은 6개소에서 4개소로 감소해 침식 위험도가 전반적으로 완화된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태풍 영향 감소와 모래 유입 증가, 연안정비사업 효과에 따른 자연 회복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고됐다.
지역별로는 울진군(91.7%→75.0%), 포항시(37.5%→25.0%), 울릉군(40.0%→20.0%)에서 침식 우심률(전체 조사 지역에 대한 침식 우려 지역(C·D등급)의 비율)이 뚜렷하게 감소했고, 영덕군(60%)은 변동이 없었던 반면, 경주시는 22.2%에서 33.3%로 증가해 일부 해변에서 지속적 침식이 관측됐다.
등급이 상향된 지역은 총 10개소로 온양·산포리(울진), 칠포~용한·영일대~두호동(포항), 태하1리(울릉) 등이 포함되며, 하향된 지역은 전동, 하서1~수렴(경주), 남호, 원척~부흥(영덕) 4개소다.
경북도는 이런 지역별 변화에 대해 “모래 이동(표사 이동) 방식, 태풍 경로 변화, 그리고 해안 시설물 설치 등 자연·인위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올해 조사는 드론(UAV)과 레이저를 이용한 정밀 측정 장비인 라이다(LIDAR), 입체 화상을 기록해 주는 스테레오 카메라 등 첨단 장비를 활용해 정밀도를 크게 높였으며, 독도 서도에서도 드론 관측으로 배후지 포락 현상을 정량적으로 분석했다. 이를 기반으로 연안침식 DB·GIS 체계도 새로 구축해 향후 정책 활용성을 강화했다.
경북도는 2026년 총 537억 원을 투입해 침식 우려가 큰 포항 영일대, 영덕 고래불, 울진 후포면 금음·봉평2리, 울릉도 태하1리 등 16개 해역에 연안정비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며, 자연친화형 정비 확대, 드론 기반 상시 모니터링, 취약지역 정밀 조사 등도 병행한다.
최영숙 경상북도 환동해지역본부장은 “연안은 도민 삶과 지역경제의 중요한 기반”이라며 “과학적 자료에 기반한 맞춤형 연안 관리로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해안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뉴스출처 : 경상북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