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탈뉴스통신) 전남소방본부는 지난 6일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타워 철거현장에서 발생한 사고를 계기로 관내 유사 위험 작업현장의 안전관리 강화를 위해 11월 13일 한국동서발전(주) 신호남건설추진본부 공사현장을 방문해 현장 안전지도를 실시했다.
이날 지도에는 주영국 전남소방본부장과 서승호 여수소방서장을 비롯해 한국동서발전과 시공사 쌍용건설 등 18명이 참여했으며, 보일러 1·2호기 해체계획과 전도발파 작업 공정에 대해 설명을 듣고 기둥 취약화 작업이 진행된 2호기에 대한 붕괴 위험성 및 구조물 변위 관계에 대한 안전지도를 실시했고, ▲철거공정 단계별 위험요인 관리 ▲화재·붕괴 위험 대비 계획 ▲비상대응체계 구축 여부 ▲해체공사 안전계획 이행 실태 등을 집중 확인했다. 특히 붕괴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기둥 취약화 작업과 발파 일정 등을 공유하며 유사 사고 예방을 위한 현장별 맞춤 개선 방안을 지도했다.
주영국 본부장은 “해체 공사는 작은 관리 소홀도 큰 재난으로 이어질 수 있는 고위험 작업”이라며 “울산 사고를 반면교사 삼아 모든 공정에서 위험 요인을 선제적으로 제거해 ‘사고 없는 현장’을 반드시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승호 서장은 “여수산단은 전국 최대 규모의 산업시설 밀집 지역인 만큼, 재난을 예방하기 위한 대책이 필수적이다. 작업자 한 명 한 명의 안전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오늘 지도 결과 확인된 미비점들은 즉시 보완해 안전사고를 원천 차단해 달라”고 당부했다.
전남소방본부는 앞으로도 지역 산업현장과 해체·건설 현장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현장지도를 이어가 대형사고 예방 활동을 강화할 계획이다.
[뉴스출처 : 전라남도 여수소방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