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탈뉴스통신) 경상북도농업기술원은 최근 재배면적이 급증하고 있는 리시안서스의 연작재배에 따른 시들음병을 해결하기 위해 토양소독 방법과 관련 재배 기술을 개발해 보급하고 있다.
리시안서스는 경북(상주, 예천, 안동, 봉화 등)을 중심으로 재배면적이 `15년 3.2ha에서 `23년 7.0ha로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재배 방법이 하절기인 8월에 정식해 이듬해 5월까지 수확하는 형태로 고온기에 정식하게 돼 토양 병해충인 시들음병과 뿌리썩음병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절화 생산량이 50~70% 감소하는 등 많은 피해가 나타나고 있다.
구미스마트농업연구소는 연작재배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적합한 토양소독 방법을 개발해 보급하고 있다.
토양소독 시기는 7월 초순을 적기로 판단하고, 다조멧(밧사미드), 메탐쇼듐(쏘일킹), 디메틸디설파이드유제(팔리딘) 등을 이용한 약제소독과 여름철 강한 햇빛을 이용해 토양 내 병해충을 살균하며 유기물을 공급하는 태양열 소독을 농가에 추천하고 있다.
약제소독은 토양을 경운하고, 관수호스를 설치한 후 훈증비닐로 멀칭해 가스 배출을 막고, 약제를 관수호스로 주입한다. 이후 약 3주 뒤 훈증비닐을 제거하고, 1주일 후 토양을 경운해 잔여 가스를 배출한 뒤에 리시안서스를 식재한다.
주의할 점은 가스발생에 의해 토양소독이 이뤄지므로 밀패 정도가 효과를 결정짓기 때문에 밀폐효율을 높여야 하며, 소독 후에는 가스가 충분히 배출될 수 있도록 토양 내 환기를 잘해야 한다.
태양열 소독은 태양열에 의한 온도가 높은 시기인 6월 하순~7월경 실시한다. 소독 방법은 시설하우스에 약 2톤(10a)의 밀기울을 골고루 살포하며, 밀기울과 토양을 잘 혼합해 토양 깊이 30cm까지 충분히 관수한 이후 전면이 잘 덮이도록 비닐로 멀칭을 하고, 멀칭이 뜨지 않도록 흙이나 비닐 물주머니로 눌러준다.
유의할 점은 충분한 양의 물을 공급하고 비닐로 토양을 완전히 밀봉해야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기간은 약 1개월 내외로 처리한다.
또한, 리시안서스 정식 전 이랑의 높이를 약 40cm로 높인 결과 시들음병 발병률이 약 12.3% 감소했으므로 토양소독 후 이랑 높이를 높게 구성하는 것이 초기 생육과 시들음병 발생 억제에 효과가 있다.
고진용 구미스마트농업연구소장은 “고소득 화훼류인 리시안서스 재배가 늘어남에 따라 농가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신속히 해결할 수 있도록 관련 기술 개발과 교육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뉴스출처 : 경북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