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25 (토)

  • 구름많음동두천 21.1℃
  • 흐림강릉 17.8℃
  • 구름많음서울 21.8℃
  • 흐림대전 19.9℃
  • 흐림대구 19.7℃
  • 구름많음울산 20.5℃
  • 맑음광주 23.2℃
  • 구름조금부산 21.6℃
  • 구름조금고창 ℃
  • 맑음제주 23.3℃
  • 구름많음강화 19.6℃
  • 흐림보은 18.1℃
  • 흐림금산 19.9℃
  • 맑음강진군 23.6℃
  • 구름많음경주시 21.6℃
  • 구름조금거제 20.4℃
기상청 제공

사회

세종시설공단, 장사시설을 넘어 시민공원으로 확장하는 은하수공원

야생화원 새단장을 통해 세종시민 휴식공간 확대에 기여

 

(포탈뉴스) 세종특별자치시시설관리공단은 은하수공원의 도심 속 공원형 장사시설로의 기능 강화를 위하여 자연장지 늘해랑 구역 야생화원에 다양한 유실수종을 식재하는 등 야생화원을 새롭게 꾸미고 시민공원으로 더 나은 환경과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각오를 밝혔다.

 

공설묘지에서 도심 속 시민공원으로 변모

 

은하수공원은 행복도시에 위치한 도심 속 장사시설로서 2017년, 2018년에 걸쳐 시민과 함께하는 프로그램을 개최하여 장사시설의 의미를 단순히 참배하고 슬퍼하는 공설묘지에서 시민들의 여가 및 휴식 공간으로 인식될 수 있는 시민공원으로 장사시설의 인식 전환의 계기를 마련했다.

 

당시 시민과 함께하는 어린이 사생대회, 은하수공원 사진전 등을 개최하며 전통적인 장사시설의 이미지를 넘어서 시민공원으로서 자리를 잡기 위한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시민공원 기능 강화를 위한 야생화원 새단장

 

은하수공원 늘해랑 구역에 위치한 야생화원은 다양한 야생화 식재를 통하여 주말 나들이객과 어린이들의 생태탐방을 위한 명소로서 각광 받아왔다.

 

은하수공원은 조성 8년 차를 맞이한 야생화원의 새단장을 통해 야생화뿐만 아니라 다채로운 식물들을 경험할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자생하는 머루, 다래 터널과 앵두나무, 아로니아 등 다양한 유실수종을 식재하여 기존 식물과의 조화는 물론 시민에게 계절별 변화하는 자연의 아름다움을 감상할 수 있는 특색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외에도 관목, 초화 등의 식재를 지속적으로 관리하여 도심 속에서 여유를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거듭날 계획이다.

 

어린이를 위한 생태프로그램 운영

 

은하수공원은 야생화원 새단장을 계기로 세종시 내 어린이집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생태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할 예정이다.

 

생태체험에서는 어린이들이 은하수공원의 푸르름을 만끽하며, 야생화원과 유실수를 직접 체험하고, 전기차를 타고 스탬프 투어를 하는 등 자연과 더 가까워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조소연 이사장은 “은하수공원 내 야생화원 새단장은 장사시설의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의 일환이 될 것”이라고 전하며 “장사시설을 넘어 세종시민들에게 편안한 시간과 장소가 될 수 있는 시민공원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뉴스출처 : 세종시설공단]


포토이슈


정치

더보기
(재)광명시청소년재단 나름청소년활동센터와 광명시청소년지원센터 꿈드림 소속 청소년 ‘2024년 경기도 청소년상 경기도지사상’수상! (포탈뉴스) (재)광명시청소년재단(대표이사 박성숙) 나름청소년활동센터 소속 최원서 청소년과 광명시청소년지원센터 꿈드림 소속 강지훈 청소년이'2024 경기도 청소년상'경기도지사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2024 경기도 청소년상'은 ▶노동 ▶효행 ▶봉사 ▶나라사랑 ▶면학 ▶과학기술 ▶예체능 ▶개척 총 8개 분야에서 적극적 활동과 우수한 성과를 보인 청소년을 선정하여 경기도지사상을 수여했다. 나름청소년활동센터 소속 최원서 청소년은 2017년부터 과학과 공학에 대한 깊은 관심과 재능을 바탕으로 나름청소년활동센터에서 다양한 과학프로젝트와 동아리 활동에 참여하며 과학적 소양과 리더십을 발휘해왔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관련학과에 전공하며, 센터 내 초·중·고등 청소년 멘토링과 과학교육 강사로 활동하며 후배 청소년 양성에 힘쓰고 있는 노력을 인정받아 선정됐다. 광명시청소년지원센터 꿈드림 소속 강지훈 청소년은 학교라는 틀에서 벗어나 더 넓은 세상을 경험하고, 다양한 사람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더 큰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겠다는 목적으로 학업을 중단했다. 그 후 문화, 예술, 학업, 취(창)업 분야를 가리지 않고 자격증을 취

사회

더보기


경제핫이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