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탈뉴스) 창원시는 13일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지방투자사업관리센터(LIMAC)가 창원박물관 건립 사업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창원박물관 건립사업은 총사업비 714억원(국비 40% 포함)을 투입해 성산구 중앙동 159-1번지 일원에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연면적 1만 4,748㎡)의 종합박물관을 건립하는 특례시 대표 문화 랜드마크 조성 사업이다.
총사업비가 500억원 이상으로 지방재정 투자심사에 앞서 타당성 조사 대상 신규사업에 해당되어 지난 4월 타당성 조사 전문기관인 한국지방행정연구원과 타당성 조사 약정을 체결하고 조사에 착수했다.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은 창원시의 사업기본계획을 바탕으로 내·외부 연구진 조사와 현장실사, 시민 설문조사 등을 거쳐 약 7개월간 창원박물관 건립사업의 ▲경제성, ▲운영수지, ▲정책적 타당성을 분석하고 이달 조사를 완료했다.
한국지방행정연구원가 창원시에 통보한 결과에 따르면, 창원박물관 건립사업은 경제성 관련 시민 설문조사(대상자 1,000명)에서 평균 지불의향금액(WTP, Willingness To Pay)이 9,335원이라는 높은 수치를 도출했다. 정책적 타당성과 운영수지 부분에서도 충분한 전시콘텐츠 확보 및 수익시설 운영계획 수립으로 사업을 수행함이 적절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시는 12월 이번 타당성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행정안전부에 지방재정 투자심사를 의뢰할 예정이다. 2022년 3월 해당 절차까지 통과하게 되면 2023년에 착공하여 2025년 박물관을 준공할 예정이다.
창원시의 박물관 건립사업 추진에 자문 역할을 수행한 경남연구원 공공투자개발관리센터에 따르면 “지불의향금액(WTP)은 사업 시행을 위해 추가적으로 지불할 의향이 있는 세금의 가격을 의미하는데, 공립박물관 평균 지불의향금액이 500원에서 1,000원 정도인 점과 비교할 때 9,355원이라는 수치는 창원박물관 건립에 대한 시민들의 열망을 보여주는 지표로 볼 수 있다”고 밝혔다.
허성무 창원시장은 “타당성 조사 결과 당초 예상했던 목표 수치 이상을 달성해 사업추진의 당위성을 확보하게 됐다”며 “지방재정 투자심사도 한 번에 통과되도록 준비해 전체적인 사업 일정이 늦어지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뉴스출처 : 경상남도 창원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