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탈뉴스통신) 부산시와 (재)부산경제진흥원은 오는 7월 28일부터 8월 2일까지 6일간 말레이시아(쿠알라룸푸르)와 인도네시아(자카르타)에 '2025 아세안 무역사절단'을 파견한다고 밝혔다.
이번 무역사절단 파견은 지난 4월 시가 실시한 ‘미(美) 관세정책 대응 기업 현장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추진된다.
조사에 따르면, 부산지역 기업들은 공급망 조정(1위)과 신시장 개척(3위)을 주요 자체 대응 전략으로 꼽았다.
이에 시는 글로벌 사우스 지역인 아세안 시장 진출을 지원해 기업들의 자구 노력과 정책적 지원 간의 시너지 효과를 도모하고자 한다.
'아세안 무역사절단' 사업은 부산 소비재 중소기업의 현지 판로개척과 수출 확대를 지원하기 위한 전략적 해외 마케팅 프로그램으로, 올해 사업의 주목표(타깃)는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 내 핵심 신흥시장으로 부상한 동남아 지역인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다.
말레이시아는 1인당 국내총생산(GDP) 1만3천 불(한화 약 1천820만 원)을 상회하며 동·서남아·중동을 아우르는 소비재 시장의 시험대(테스트 베드) 역할을 하는 국가다.
한류 기반의 소비 흐름(트렌드), 활발한 모바일 결제 생태계, 세계적(글로벌) 할랄 인증 허브로서의 입지 등은 한국 소비재 진출에 최적의 환경을 제공한다.
인도네시아는 2억8천만 명에 달하는 거대 인구를 보유한 글로벌 사우스 최대 소비시장 중 하나로, 젊은 인구 중심의 프리미엄 소비 수요와 온라인 플랫폼 중심의 유통환경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케이(K)-콘텐츠 선호도가 세계 1위를 기록하는 등 한국 식품·화장품에 대한 수요 역시 꾸준히 증가 중이다.
파견 대상은 전년도 수출액 3천만 불 이하의 부산소재 중소기업 10개 사로, 이들은 파견 기간 현지에서 수출상담회 및 구매자(바이어) 방문 상담을 진행한다.
시는 총 6천800만 원의 예산을 투입해 참가기업에 왕복 항공료의 50퍼센트(%), 현지 교통, 상담장 조성, 통역 등 상담회 운영에 필요한 제반 비용을 전폭 지원할 계획이다.
사절단 참가를 희망하는 기업은 오는 6월 5일까지 시 해외마케팅 통합시스템을 통해 신청하면 된다.
김봉철 시 디지털경제실장은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는 글로벌 사우스 내 소비재 시장의 확장 가능성이 가장 높은 지역 중 하나”라며 “이번 무역사절단을 통해 부산 중소기업들이 전략적으로 신흥시장에 안착하고, 지속적인 해외 판로 확보의 전기를 마련하길 바란다”라고 전했다.
[뉴스출처 : 부산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