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탈뉴스통신) 전북특별자치도는 올해 7월부터 시작한 ‘전북형 SOS 돌봄센터 운영사업’이 시행 4개월 만에 총 192건의 긴급돌봄을 지원하며 빠르게 자리 잡고 있다고 28일 밝혔다. 가정에서 영유아를 양육하는 보호자들이 가장 필요로 했던 돌봄 공백 해결 기능이 실질적으로 작동하고 있다는 평가다.
그동안 어린이집을 이용하지 않는 가정양육 보호자들은 병원 진료, 야간근무, 갑작스러운 외출 등 긴급 상황에서 마땅한 대체 서비스를 찾기 어려웠다. 기존 시간제 보육도 6개월~2세 영아만 이용 가능하고 주간 중심 운영에 그쳐, 6개월~5세 전 연령과 야간 돌봄 수요를 충분히 충족시키지 못했다.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도는 지난 4월 익산시 딩동댕어린이집을 SOS 돌봄센터로 지정해 7월부터 시범 운영에 들어갔으며, 연령과 시간 제약을 완화했다. 그 결과 야간 긴급 돌봄, 병원 동행 전·후 대기시간 케어 등 생활밀착형 서비스를 즉각 제공하며 호응을 얻고 있다.
이용자 만족도는 5점 만점에 4.8점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보호자들은 “갑작스러운 상황에서 바로 맡길 곳이 생겼다”, “야간에도 이용 가능해 큰 도움이 된다” 등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도는 긴급돌봄뿐 아니라 전북형 무상보육 실현에도 적극 나서며 부모의 양육 부담 경감에 힘쓰고 있다. 국비 보육료 1,893억 원 지원과 함께 도 자체 예산으로 전북형 무상보육 필요경비 175억 원과 부모부담 차액보육료 46억 원을 추가 투입 중이다. ‘부모 부담 제로 보육환경’을 선제적으로 마련하고 있는 것이다.
늘어나는 가정양육 가구의 보육 수요를 반영해 시간제 보육도 확대하고 있다. 올해 71개 반 운영 중인 시간제 보육은 내년 85개 반으로 늘어날 예정이다. SOS 돌봄센터와 함께 전 연령·전 시간대를 아우르는 촘촘한 돌봄체계 완성에 한 걸음 더 다가설 전망이다.
양수미 전북자치도 사회복지정책과장은 “그동안 가정양육 보호자들이 긴급 상황에서 아이를 맡길 곳이 없어 큰 어려움을 겪어 왔다”며 “내년 시간제 보육 확대와 SOS 돌봄센터 운영 내실화를 통해 가정양육 아동의 돌봄 사각지대를 완전히 해소하고, 틈새 없는 지역 돌봄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뉴스출처 : 전북특별자치도]

